Page 261 - ele_society_5-2_tutor
P. 261
수업 참고 자료
10 11 차시 일제의 의병 진압과 의병 전술의 변화
~
일제는 러일 전쟁 직후 한반도에 있는 일본 민간인을 2
을사늑약 반대 운동
보호한다는 구실로 조선 주둔 일본군을 설치하고 을사 단원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거국적인 반대 운동이 일어났
늑약 이후 지속적인 ‘의병 토벌’을 감행하였다. 의병은
다. 항쟁의 기치를 가장 먼저 들고 일어선 것은 언론계
군대 해산 이후 약 1년간 일본군의 집중적인 공격으로
였다. 특히 『황성신문』 사장 장지연은 11월 20일 자 『황
많은 희생을 치렀다. 이 시기 일본군에 학살된 의병 수
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이날을 목 놓아 통곡한다.)」
는 일제의 공식 통계상으로 12,592명에 이른다. 현대식
이라는 논설을 발표해 일제의 침략성을 규탄하고 조약
병기로 무장한 일본군의 월등한 화력, 치밀한 정보전,
에 조인한 매국 대신들을 통렬히 비난함으로써 전 국민
철도 등을 이용한 빠른 기동력 등이 주요한 원인이었지
으로부터 공감을 얻었다.
만, 이러한 일본군에 대해 수적 우세로만 대응하려 했던
언론계의 활동과 더불어 유생들과 전현직 관료들에
의병들의 전략과 전술의 한계도 대량 학살의 피해를 입
의한 상소 운동도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한규설은 을사
게 된 원인이었다.
늑약이 강제로 체결되던 17일 밤에 고종을 알현하고 조
이후 의병들은 일본군과의 대규모 군사적 충돌을 피하
약 거부 방안을 상주하였다가 얼마 뒤 면직 처분을 받았
는 대신 유격전을 강화하고, 지역 주민과의 유대를 통해
다. 민영환은 11월 30일 울분에 차 고종과 2천만 동포에
지속적으로 군수를 확보하여 근거지를 마련하는 한편, 정
게 보내는 유서를 남긴 뒤 할복 자결하였다.
보력의 강화를 통해 적의 예봉을 피하는 등 새로운 전술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
구사하면서 의병 전쟁을 장기전으로 이끌어 갔다. 그러나
헤이그에 간 특사들은 어떤 일들을 했을까? 의병들의 끈질긴 저항도 절대적으로 우세한 일본군의 공
이상설, 이준, 이위종으로 이루어진 헤이그 특사는 다 세를 막아 낼 수는 없었다. 이후 많은 의병 세력이 해외로
음과 같은 일을 하였다. 망명함으로써 국내에서의 항일 의병 항쟁은 점차 해외 독
첫째, 황제의 친서 전달 및 각국 대표 면담 요청이다. 립군의 항일 무장 투쟁으로 계승·전환되어 갔다.
- 홍순권, 「한말 일본군의 의병 진압과 의병 전술의 변화 과정」,
특사 일행은 6월 25일, 헤이그 평화 회의 제1분과 위원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5, 2013, 46~48쪽 -
회를 방문하여 고종의 친서를 전달하였다. 친서의 골자
는 일본이 대한 제국의 기능을 마비시키고 외교적 활동 애국 계몽 운동
을 막은 불법 행위에 대한 문제가 평화 회의에서 의제로 애국 계몽 운동은 국권을 빼앗아 간 일본 제국주의의
다루어지기를 바란다는 것이었다. ‘실력’과 국권을 빼앗긴 우리 민족의 ‘실력’의 격차를 인
둘째, 을사늑약이 무효임을 선언하는 공고사(의견문)의 식하고 우리 민족의 ‘힘’과 ‘실력’을 양성하여 우리 민족
작성과 전달이다. 공고사와 부속 문서는 이상설 등이 이 조 의 힘으로 국권을 회복하려는 운동을 일컫는다.
약의 체결 과정에서 실제로 경험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애국 계몽 운동에는 문화 운동뿐만 아니라 신교육 구국
셋째, 평화 회의장 앞에서 기자 회견을 열었다. 그들은 운동, 언론 계몽 운동, 실업 구국 운동(민족 산업 진흥 운
공고사를 배포하면서 신문 기자와 인터뷰를 하였다. 이 동), 국채 보상 운동, 신문화·신문학 운동, 국학 운동, 민
들의 기자 회견 내용은 7월 5일 자 현지 신문에 실렸다. 족 종교 운동, 해외 독립군 기지 창건 운동 등이 있었다. 대
넷째, 각국 신문 기자단이 모인 국제 협회에서 연설을 표적인 애국 계몽 단체인 신민회의 목적과 이념은 국권을
하였다. 여기에서 이위종은 세계의 언론인들에게 한국 회복하여 자주독립국을 세우고 정치 체제를 공화정체로
의 비참한 실정을 알리는 ‘한국의 호소’를 전하였다. 하는 것이었다. 신민회는 국권 회복을 위한 독립 전쟁 전
- 이민원, 「광무 황제와 헤이그 특사–고종의 헤이그 특사 파견 논리와 략과 기회론 전략을 수립하고 실력 양성을 중요시하였다.
구상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9, 2007, 105~109쪽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
259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