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6 - ele_society_5-2_tutor
P. 256

15~16차시
                                         교과서  127    쪽

               5            에 맞서                                                                                   의거 활동
 국외의 독립운동                              을 지키기                             일제의 강제 동원
 3·1 운동 이후 많은 동포가 이주했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무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일제의 감시와 탄압, 내부 갈
 장 독립 투쟁이 활발하게 벌어졌다. 독립군은 여러 차례 국내로 들어  위한 노력을 알아볼까요                                      강제 징용                    등으로  어려움에  빠지자  김구는  한인 애국단을  만들어
 와 일본군과 일본 경찰서를 공격하였다.                                                                                             한국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려 하였다.
                                                                       일제는  1938년  「국가  총동원법」을  제정하여  본격적으로  한국인과  각종  물자를
 일제는 독립군의 근거지였던 만주의 봉오동을 습격하였다. 홍범도                                                                                 한인 애국단의 이봉창은 도쿄에서 일본 왕의 마차에
  홍범도 장군                                                              수탈하였다.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았고, 일본, 중국, 사할린 등으로 끌고 가 무기
 장군과 독립군은 전투에 유리한 지역으로 일본군을 유인하여 크게 격파  민족 말살 통치                      공장이나 탄광에서 일을 시켰다. 이들 중에서 많은 사람이 다치고 목숨을 잃었으며,   폭탄을 던져 일제에 충격을 주었다. 윤봉길은 일본 왕의
 하였다(봉오동 전투).   1930년대 후반 일제는 만주 침략을 시작으로 아시아와 태평양 곳곳                 광복 후에도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였다.                       생일을 기념하는 상하이의 행사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
 이후 일제는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여 만주의 독립군을 다시 공격하  에서 침략 전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한국인을 일본 왕에 충성하고   1944년, 내 나이 열일곱 살 …… 부산에서 배          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봉창   김구와 윤봉길
                                            신사 참배  일본의 신을 모시는
 였다. 김좌진과 홍범도가 이끄는 독립군 부대는 청산리 일대에서 반격  식민  지배에  협조하도록  만들기  위해  민족  말살  통치를  실시하였다.     신사에 강제로 절하게 한 일.  를 타고 도착한 곳이 일본 규슈 탄광이었다.
 하여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청산리 대첩).   학교에서는 한국어와 한국의 역사 교육을 금지하고 일본             전등 달린 모자에 수건 같은 속옷만 걸치고, 하                   한국 광복군의 활동
  김좌진 장군                                                              루 3교대로 쉴 사이도 없이 일을 하였다. …… 다
             어와 일본 역사만을 가르쳤다. 전국의 신사에 강제로 참배                          치는 사람도 많고, 죽는 사람도 많았다. …… 도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여러 지역의 독립군을 모아 정식 군대인 한국   선전 포고  한 나라가 다른 나
                                                                                                                                                 라에 전쟁을 시작한다는 것을
             하고 이름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하였다.                                   망가 봐야 금방 끌려와서 삽이나 몽둥이로 두들                    광복군을 조직하였다. 그리고 일본에 선전 포고를 하여 연합국 자격으  공식적으로 알리는 일.
 일제는 신문과 잡지의 발행을 허용하여 언론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였다.  ( ◯,  ×  )
              일제는 침략 전쟁에 우리 민족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겨 맞으니 도망가지 못하였다.   군함도  이 섬의 강제 노동에 동원     로 전쟁에 참전하였다. 한국 광복군은 미군과 연합하여 국내에 진입할   연합국  제2차 세계 대전 때에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구술자료』 -   된 한국인 100명 이상이 목숨을                          독일, 일본 등에 맞서 싸운 여러
             전쟁에  필요한  사람을  강제로  끌고  갔으며(강제  징용),                                         잃었다.                     작전을 세웠으나 일본이 항복하여 실현되지 못하였다.  나라로, 미국, 영국, 중국, 소련
                                                                                                                                                 등이 해당됨.
             쇠붙이와 쌀 등 각종 물자를 빼앗아 갔다.     일제 강점기 신사 참배 모습
                                                                강제 징용 노동자상                                                한국 광복군 결성식 기념 촬영   사격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서울특별시 용산구)  일본군 ‘위안부’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지 않으면 받는 불이익과 저항                  일제는 침략 전쟁을 벌이면서 수많은 여성을 강제로 잡아가 성 노
                                                                   예로 삼았다. 일본군 ‘위안부’ 여성들은 전쟁 중에 많은 고통과 피해를
                                        조선 총독이 지로
                              일본식 이름을
              아직도 한국 이름을      쓰지 않겠다면   (둘째 아들)면, 내 이름은 타로         입었으며, 광복 이후에도 제대로 사과조차 받지 못하였다. 1992년 이
              쓰다니. 쌀 배급에서     수업도 듣지 마!  (첫째 아들)로 해야겠어.            후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과 시민 단체들은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
                제외야!                   내가 조선 총독 형이다!
                                                                   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시위를 매주 수요일에 열고 있다.
 동해
               불이익                        저항
                1940년부터 일제는 민족정신을 없애기 위해 한국인들에게   일본식 이름 사용에 반발하
               일본식 이름을 쓰도록 강요하였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거부  여 자결하거나 일본식 이름을                                                        1    1930년대 후반 일제는 한국인을 식민 지배에 협조하도록 만들기 위해 (  ) 통치를
                                                                                                                        실시하였다.
               하자 불이익을 주거나, 강제로 이름을 바꾸게 하였다.  비꼬는 형태로 저항하였다.
                                                                           수요 집회에 참여한 학생들     평화의 소녀상                   2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  )을/를 만들어 일본에 선전 포고를 하였다.
                                                  127        128
 126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27  128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29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1930년대 후반 이후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에 맞서 우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리 민족을 지키기 위해 전개한 노력을 설명할 수 있다.
                                                             •  3·1 운동 이후 전개된 독립을 위한 노력에는 무엇이 있었
             수업의 흐름                                           나요?

                                                              – 국내에서는 실력 양성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도입    3 · 1 운동 이후 국내외의 독립운동 떠올리기
                                                              –  국외에서는 무장 독립 투쟁을 전개하여 봉오동 전투
                   ➊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 알아보기

                                                                와 청산리 대첩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➋     아! 그렇구나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지 않으면
                     받는 불이익과 저항
                   ➌    별별이야기 일제의 강제 동원
             전개                                              전개


                   ➍  의거 활동과 한국 광복군의 활동 알아보기
                   ➎    궁금해요 민족 문화를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             ➊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 알아보기
                     을 했나요?
                                                             •  1930년대 후반에 일제는 어떤 활동을 했나요?
                  •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의 내용 정리하기
                                                              – 아시아와 태평양 곳곳에서 침략 전쟁을 벌였습니다.
                  •  민족 말살 통치에 맞서 우리 민족을 지키기 위
             정리                                              • 1930년대 후반 이후 일제는 우리 민족을 어떻게 통치했나요?
                    해 전개한 노력 정리하기
                                                              –  한국인을 일본 왕에 충성하고 식민 지배에 협조하도
                                                                록 만들기 위해 민족 말살 통치를 실시하였습니다.


           254    각론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