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3 - ele_society_5-2_tutor
P. 263

13   차시                                           「대한민국 임시 헌장」은 제1조에서 대한민국이 민주
                                                                  공화제 국가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임시 정부에 모인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독립운동가들은 황제만이 주권을 갖는 제국을 부정하였
                   국사편찬위원회는 3·1 운동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고                   다. 그러면서 제3조에서 제6조까지 언급되는 인민이 나                   2
                 국민들의  3·1  운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자               라의 주인이 되는 민국, 곧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겠다는                   단원
                 2016년부터 4년에 걸쳐 3·1 운동 관련 기초 정보를 종                뜻을 첫 조항에 담은 것이다.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등

                 합하고 GIS(지리 정보 체계)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데이                  장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이름에는 주권 재민의 민주
                 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혁명의 꿈이 담겨 있었던 셈이다.
                   이 사이트에서 행정 구역이나 날짜 기반 검색을 통해                      - 이준식,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이념적 지향–대한민국 임시
                 3·1 운동에 관한 자료를 살펴볼 수 있다. 격문이나 선언                          헌장(1919) 해석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4, 2017,
                                                                                                    105~109쪽 -
                 서 등을 찾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전반적인 내용을 시
                 각적으로 정리한 인포그래픽도 있다.                               14 차시

                                                                     일제 식민지 통치 방식의 변화, 문화 통치로의 전환

                                                                    3·1 운동으로 식민지 지배 체제를 유지하는 데 위기의
                                                                  식을 갖게 된 일본 제국주의는 부분적으로나마 식민지
                                                                  통치 방식의 전환을 모색하게 되었다.
                                                                    문화 통치는 “문화가 발달하고 국민의 노동력이나 재
                                                                  력이 충실해지는 데 상응해 정치적·사회적으로 조선인
                                                                  을 내지인(일본인)과 동일하게 대우하려는 궁극적인 목
                                            - [참조] 국사편찬위원회,
                                                                  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데 있다.”라는 명목 아래 추진되었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db.history.go.kr/samil/) -
                                                                  다. 그러나 문화 통치에는 다른 이면이 있었다. 그것은
                    주권 재민의 근대 국민 국가를 지향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족 해방 운동에 대한 폭력적 탄압이었다. 일제는 조선
                                                                  인의 독립 의지를 일절 인정하지 않았다. 식민지 지배 체
                   「대한민국 임시 헌장」 10개조
                                                                  제에 조금이라도 위협이 될 행위는 엄중한 탄압의 대상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제로 함.
                                                                  이 되었다. 탄압은 악법 중의 악법인 치안 유지법, 투망
                   제3조  대한민국의 인민은 남녀 귀천 및 빈부의 계급이
                                                                  식 검거, 고문과 악형, 사상 전향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없고 일절 평등임.
                                                                         - 이준식, 『한국근대사 2, 식민지 근대와 민족 해방 운동』,
                   제4조  대한민국의 인민은 종교, 언론, 저작, 출판, 결
                                                                                          푸른역사, 2016, 115~125쪽 -
                        사, 집회, 신서, 주소, 이전, 신체 및 소유의 자
                        유를 향유함.                                      물산 장려 운동
                   제5조  대한민국의 인민으로 공민 자격이 있는 자는 선
                                                                    물산 장려 운동의 취지는 일제의 경제 침략에 대항해
                        거권 및 피선거권이 유함.
                                                                  한국인이 경영하는 기업을 육성하고 경제적 자립을 이
                   제6조  대한민국의 인민은 교육 납세 및 병역의 의무가
                                                                  룩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한말의 국채 보상 운동과 맥락
                        유함.
                                                                  을  같이하는  것으로  1920년  평양에서  시작되었으며,
                   1919년 3월 1일 이후 독립 선언과 만세 시위에서 제                1923년 서울에서 조직된 조선 물산 장려회가 중심이 되
                 기된 새로운 미래상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구체화                     어 자급 자족·토산품 애용·소비 절약 및 금주·금연 등
                 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을 통해 우리 민족 최                   의 운동을 전개하였다.

                 초로 인민의 평등과 자유를 보장하는 주권 재민의 근대                      물산 장려 운동에는 지식인·청년·학생·부녀자들이 동
                 국민 국가가 출범하였다.                                    참하였고, 전국적으로 한국인이 생산하는 물산의 소비


                                                                                                         261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