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8 - ele_society_5-2_tutor
P. 268
18차시
교과서 136~137 쪽
1 광복을 맞이하여 국내외에서 국내에서는 여운형을 중심으로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
어떤 움직임이 있었는지 알아볼까요 기 위한 단체를 조직하고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노력하
였다. 이승만을 비롯해 해외에 머물러 있던 독립운동가
들과 김구, 김규식 등 대한민국 임시 정부 주요 인물들
은 조국의 광복 소식을 듣고 귀국하였다. 이들은 어떠한
제2차 세계 대전 중 한국은 끊임없이 독립운동을 전개하였 나라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귀국을 환영하는 사람들
8・15 광복의 과정을 알아볼까요? 다. 연합국은 한국의 독립 의지와 노력을 인정하여 전쟁 이후
한국의 독립을 약속하였다. 1945년 8월, 연합국의 승리를
앞두고 미국이 일본 땅에 원자 폭탄을 떨어뜨리면서 광복 당시 사람들이 세우고 싶었던 나라의 모습
일본은 조건 없이 항복하였다. 이에 8월 15일 우리나라
는 드디어 광복을 맞게 되었다.
자유가 보장된 나라의 법은 우리나라의 모습이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에서 나오고, 외부 세력에 의해서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자유롭지 못한 나라의 법은 결정되어서는 안 됩니다.
중국, 미국, 영국 정상들 유럽, 아시아 등에서 전개된 세계 규모의 전쟁.
국민 가운데 한 명이나 특정 우리 민족이 세계 여러 나라와
이 우리 민족의 독립을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광복 빼앗긴 나라의 땅과 주권을 되찾음. 세력에서 나옵니다. 나는
처음으로 약속하였다. 우리나라가 독재의 나라가 서로 협력해야 합니다.
(1943. 11. 23.~26.)
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김구 여운형
1 두 사람이 만들고 싶었던 나라와 관련된 중요 단어를 골라 동그라미 해 보자.
2 두 사람이 만들고 싶지 않았던 나라의 모습과 관련된 문구에 밑줄 쳐 보자.
전쟁에 패한 일본 왕이
라디오에서 종전 선언문
을 발표하고 있다. 3 1, 2번을 참고하여 김구, 여운형이 만들고자 했던 나라의 모습을 써 보자.
(1945. 8. 15.)
김구
여운형
서대문 형무소에서 석
방된 사람들이 기뻐하
고 있다. (1945. 8. 16.) 1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이 승리하면서, 우리나라는 광복을 맞게 되었다. ( ◯, × )
2 광복 직전 국내에 머무르던 김구는 새로운 나라 건설을 준비하는 단체를 조직하였다. ( ◯, × )
136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37
137
136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8·15 광복 과정과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전개한 노
동기 유발하기
력을 이해할 수 있다.
• 교과서 136쪽의 오른쪽 사진은 광복을 맞이해 기뻐하는
수업의 흐름 사람들의 모습입니다. 사람들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 나라를 되찾은 기쁨에 감격했을 것입니다.
도입 8 ・ 15 광복과 관련된 사진 살펴보기
– 일제의 식민 지배로부터 벗어나서 기뻤을 것입니다.
➊ 8 · 15 광복의 과정 알아보기
➋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한 노력 알아보기 전개
➌ 탐구해요 광복 당시 사람들이 세우고 싶었던
전개 나라의 모습 ➊ 8・15 광복의 과정 알아보기
➍ 별별이야기 8 · 15 광복을 맞이하여 되찾은 이 • 연합국이 한국의 독립을 약속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름과 글자, 그리고 신문
– 끊임없이 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독립 의지와 노
8 · 15 광복의 과정과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한 력을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정리 노력 정리하기
• 우리나라는 어떻게 8·15 광복을 맞이하게 되었나요?
– 미국이 일본 땅에 원자 폭탄을 떨어뜨리면서 일본이
항복한 결과, 우리나라는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습니다.
266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