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1 - ele_society_5-2_tutor
P. 271
교과서 140~141 쪽
•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이 북쪽으로 들어가지 못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신탁 통치 문제를 둘러싼 갈등 남북 갈등과 통일 정부 수립 노력 – 소련과 북한이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입국을 거
미국과 영국, 소련의 대표들은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 국제연합은 남북한 총선거를 실시하여 통일된 남한이라도 임시 정부 또는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하여
의를 열어 한반도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논의하였다. 이 정부를 한반도에 수립하기로 결정하고 유엔 한국 38도선 이북에서 소련이 부하며 국제연합의 결정에 반대했기 때문입니다. 2
물러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회의에서 한반도에 민주적인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최대 5 임시 위원단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소련과 북한은
년 동안 신탁 통치를 실시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입국을 거부하며 국제연 • 결국 국제연합은 어떤 결정을 내렸나요? 단원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의 신탁 통치가 결정되면서 우리나라는 회의의 결정을 찬성 합의 결정에 반대하였다. 이에 국제연합은 선거가
나는 통일된 조국을 이승만
신탁 통치 특정 국가가 일정 하는 사람들과 신탁 통치를 반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이 생겼다. 가능한 지역에서만 선거를 실시하여 정부를 세우 건설하려다가 38도선을 베고 –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만 선거를 실시하여 정부를
지역을 대신하여 통치하는 제도. 쓰러질지언정 단독 정부를
미국, 소련, 영국, 중국이 신탁 1946년 3월, 한반도의 임시 정부 수립과 신탁 통치 문제 등을 논의 기로 하였다. 수립하는 데는 협력하지
통치를 하는 것으로 결정함. 않겠다. 세우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하기 위해 미국과 소련 간에 미소 공동 위원회가 열렸다. 여러 차례 회 일찍부터 이승만은 통일 정부 수립이 어렵다면
국제연합 제2차 세계 대전이 의가 열렸지만 두 나라 사이에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미국은 한 남한만이라도 빨리 정부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
끝난 후 세계 평화 유지를 목적 • 남한만의 총선거에 대해 이승만과 김구는 어떤 주장을 했나요?
으로 만든 국제기구. 국의 독립 문제를 국제연합(UN)이 결정하도록 하였다. 였다. 반면 김구는 남한만의 총선거에 반대하며
평양에서 북한 지도자를 만나 통일 정부 수립을
– 이승만은 통일 정부 수립이 어렵다면 남한만이라도
신탁 통치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논의하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찬성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새 나라를 준비할 동안만 다른 나라가 통일된 정부 수립을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는
세력은 각각 어떻게 통치해 준다고 생각했고, 반대하는 빨리 정부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생각했을까? 세력은 신탁 통치가 식민 지배와 다를 가운데 결국 남한만의 5·10 총선거 실시가 결정되
것이 없다고 생각했어.
었다. 통일 정부 논의를 위해 38도선을 넘는 김구 – 김구는 남한만의 총선거를 반대하였습니다.
• 김구는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요?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의 결정 지지 집회
신탁 통치 반대 집회
제주 4·3 사건
– 평양에서 북한의 지도자를 만나 통일 정부 수립을 위
1947년 제주도 3・1절 기념 행진에서 한 아이
가 경찰이 타던 말에 치여 다치는 사건이 일어 해 노력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습니다.
났다. 분노한 주민들은 경찰에게 항의하면서
시위를 일으켰고, 그 과정에서 경찰이 총을 쏴 • 이후 남한의 상황은 어떻게 변했나요?
3상 결정 절대 지지
민간인 6명이 사망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1948년 제주도의 일부 세력은 – 남한만의 5·10 총선거 실시가 결정되었습니다.
남한만의 단독 선거를 반대하고 통일 정부 수립
신탁 통치 절대 반대
을 내세우며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미군정과
제주 4·3 평화 공원 모자상
정부는 이들을 무력으로 진압하였고 그 과정에 ➌ 아! 그렇구나 _ 제주 4·3 사건
서 죄 없는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140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41 141 • 제주 4·3 사건이란 어떤 사건인가요?
– 제주도 일부 세력의 무장봉기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죄 없는 사람들이 희생된 사건입니다.
• 신탁 통치가 결정된 후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났나요?
판서하기
– 회의의 결정을 찬성하는 사람들과 신탁 통치를 반대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이 생겼습니다. 1. 한반도의 분단
광복 이후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38도선을 기준
• 각각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으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들어옴.
– 신탁 통치를 찬성하는 세력은 새 나라를 준비할 동
2. 신탁 통치 문제를 둘러싼 갈등
안만 다른 나라가 통치해 준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의에서 최대 5년의 신
– 신탁 통치를 반대하는 세력은 신탁 통치가 식민 지
탁 통치가 결정됨.
배와 다를 것이 없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신탁 통치안에 찬성하는 쪽과 반대하는 쪽 사이에
•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최한 회의 갈등이 생김.
는 무엇인가요? 미소 공동 위원회에서 결정하지 못해 한국의 문제
– 미소 공동 위원회입니다. 를 국제연합이 결정하도록 함.
• 미소 공동 위원회는 어떻게 되었나요? 3. 남북 갈등과 통일 정부 수립 노력
– 미국과 소련이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결렬되었 국제연합의 총선거를 통한 통일 정부 수립 결정 →
습니다. 소련과 북한의 거부 → 선거 가능 지역만 선거를
➋ 남북 갈등과 통일 정부 수립 노력 알아보기 시행하기로 함.
김구는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성과
• 국제연합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 어떤 결정을 했나요?
를 거두지 못함.
– 남북한 총선거를 통해 통일된 정부를 수립하기로 결
남한만의 5·10 총선거 실시가 결정됨.
정하고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을 파견하였습니다.
269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