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6 - ele_society_5-2_tutor
P. 276

21~22 차시
                                                                                      교과서  146~147   쪽


                                                                 전 국토는 황폐해졌고 생산 시설과 건물, 도로, 철
                                                                도  등  주요  시설물이  파괴되어  복구하는  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갔다. 또한 숭례문, 보신각 등 수
                                                                많은 문화재가 훼손되거나 불타 없어지기도 하였다.
                                                                 6·25 전쟁은 남북한 서로에게 적대감과 상처를 남
                                                                겼고, 이산가족 문제, 남북 교류와 평화 통일 문제 등
                        전쟁고아의 발생  피란 가는 사람들의 행렬                 은 현재까지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폐허가 된 세종로


                      6・25 전쟁의 결과                                       6·25 전쟁이 남긴 상처
                       6·25 전쟁의 결과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다. 국군과 북한군,
                                                                       이산가족 문제             해외 입양  문제
                      국제연합군이 전투 중에 목숨을 잃었고, 수많은 민간인이 다치거나 죽
                                                                  6·25  전쟁  이후        6·25  전쟁으로  10만  명이  넘는  전쟁고아가
                      었다. 또한 전쟁으로 함께 살던 가족이 뿔뿔이 흩어져 수많은 이산가
                                                                 우리나라에서는 수           생겨났다. 이들을 돌보고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족과 전쟁고아들이 생겨났다. 피란을 가지 못한 사람들은 점령군이 바
                                                                 많은 이산가족이 생          겪자 정부에서는 1954년부터 사회 복지 기관을
                      뀔 때마다 국군과 북한군에게 도움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고통을 겪거
                                                                 겨났다. 이후 흩어진         통해 해외 입양 사업을 시작하였다.
                      나 죽음을 당하기도 하였다.                            이산가족을 찾기 위           부모를 잃은 수많은 아이는 미국을 비롯한 외
                                                                 해서 1983년에 KBS       국으로 입양되었다. 1980년대에 우리나라 경제
                                                                 에서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의 상봉  가 발전하면서 해외 입양은 크게 줄었으나, 여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방영되었다.  전히 계속되고 있다.
                      6·25 전쟁 중 군인의 사상자 수  6·25 전쟁 시도별 민간인 인명 피해
                                                                  10만 건이 넘는 신청이 접수되었고 5만 건이
                     4만 670명           (단위: 명)  0~5만
                               한국군  유엔군         5만~10만           방송에  소개되어  10,189건의  이산가족이  상봉
                전사 13만 7,899명  총 17만 8천 명       10만~15만
                                         서울  강원  15만~20만         하였다. 아직까지도 수많은 이산가족이 가족을
                                        12만 9,908  13만 777
                부상   45만 742명  10만 4,280명 총 55만 5천 명  경기         만나기 위해 기다리고 있지만, 신청자들이 고령
                                         12만 8,740
                                           충북                    화되면서 이산가족을 만날 가능성은 점점 줄어
                 0  10  20  30  40  50  60  70(만 명)  충남  7만 3
                                        7만 5,409  경북  동 해
                                       황 해   9만 7,851            들고 있다.
                                         전북                                            전세기 편으로 미국에 도착한 한국 입양아들
                전사   52만 명(부상 포함)  11만 6천 명 총 63만 6천 명  9만 1,861  경남
                                         전남  7만 2,306
                부상  미상  22만 명           19만 3,788
                               북한군  중국군
                                                제주
                                            남 해
                 0  10  20  30  40  50  60  70(만 명)  325
                              [출처: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0]  [출처: 내무부 통계국, 『대한민국 통계연감』, 1955]  1953년 7월 (  )이/가 그어지면서 남과 북이 분단되었다.
          146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47
                                                                                                     147
             146
           ➋ 6·25 전쟁의 결과 알아보기                                 –  남북한이 서로에게 적대감과 상처를 남겼습니다.
           •  6·25 전쟁으로 인해 어떤 피해가 발생했나요?                      –  이산가족 문제, 남북 교류와 평화 통일 문제 등이 현
             –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                             재까지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  국군과 북한군, 국제연합군이 전투 중에 목숨을 잃                  •  교과서 146쪽 하단 자료를 살펴봅시다. 어느 쪽 군인의
               었습니다.                                          전사자 수가 가장 많았나요?
             –  민간인이 다치거나 죽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 북한입니다.
             –  함께 살던 가족이 뿔뿔이 흩어져 수많은 이산가족이                  • 어느 지역에서 민간인 인명 피해가 가장 컸나요?
               생겨났습니다.                                        – 전라남도 지역입니다.
             –  부모를 잃은 전쟁고아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수업 제안
             –  피란을 가지 못한 사람들은 점령군이 바뀔 때마다                    • 6·25 전쟁의 결과를 정리한 영상과 그래프, 도표 등 추가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국군과 북한군에게 도움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고통
                                                              • 6·25 전쟁 인명 피해 중 민간인 피해를 다룰 때 노근리 양민
               을 겪거나 죽는 경우가 발생하였습니다.
                                                                학살 사건 등 민간인 학살 문제와 관련된 사례를 제시할 수 있
             –  전 국토가 황폐해졌습니다.                                  다. 이를 통해 한반도에서 더 이상 전쟁이 발생해서는 안 되고,
             –  생산 시설, 건물, 도로, 철도 등 주요 시설물이 파괴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하며 통일로 나아가야 하는 당위성을 도
               되어 복구하는 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갔습                       출할 수 있다.
                                                              • 6·25 전쟁의 결과와 관련된 자료를 제시하면서 피란민의 삶
               니다.
                                                                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부산 천막 학교,
             –  숭례문, 보신각 등 수많은 문화재가 훼손되거나 불
                                                                국제 시장 등 임시 수도였던 부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자료를
               타 없어지기도 하였습니다.                                   제시할 수 있다.


           274    각론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