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4 - ele_society_5-2_tutor
P. 274

21~22 차시
                                                                                      교과서  144~145   쪽
              3              전쟁의 전개 과정과                          6·25 전쟁이 일어나자 국제연합은 16개국이 참여한 국제연합군을 남


                       결과를  알아볼까요                               한에 파병하고 물자를 지원하였다. 국군과 국제연합군은 인천 상륙 작전
                                                                을 통해 서울을 되찾는 데 성공하였다. 이후 38도선을 넘어 평양을 비
                                                                롯한 북한의 대부분 지역을 차지하고 압록강까지 진격하였다.
                                                                 그러나 중국군이 북한군을 돕기 위해 압록강을 넘어 전쟁에 개입하
                       6・25 전쟁의 전개 과정                           면서 국군과 국제연합군은 다시 후퇴하였다. 이후 38도선을 중심으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동시에 전쟁을 멈추기 위한 회담이 진행되었다.
                       통일을 열망하는 우리 민족의 노력과 기대에도 불구하고 한반도는 남
                                                                 1953년 7월, 정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휴전선이 그어지고 남과 북의   정전 협정  전쟁 중에 있는 양
                       과 북으로 나뉘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은 한반도를 무력으로 통일
                                                                                              측이 일시적으로 싸움을 중단
                                                                분단은 계속되었다. 이후 1954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남북한을 비롯하  하기로 맺은 협정.
                       하기 위하여 38도선을 넘어서 총공격을 하였다. 국군은 방어를 위해 애
                                                                여 미국, 소련, 중국 등 여러 나라가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
                       썼지만, 소련의 군사적 지원을 받은 북한군에게 계속 패하여 낙동강 이
                                                                해 회의를 열었다. 하지만 양측의 주장이 좁혀지지 않아 성과 없이 끝
                       남까지 후퇴하였다.
              6·25 전쟁의                                          났고, 한반도는 오늘날까지 휴전 상태로 남아 있게 되었다.
              전개 과정
                      북한의 침략으로         국군·국제연합군이                 중국군이 북한군을 도와 압록강을 넘어오고  전쟁을 중단하는 회담을 시작하고
                     6·25 전쟁이 시작되다   인천 상륙 작전을 통해 반격하다            국군과 민간인이 철수를 시작하다   정전 협정을 체결하다
                       1  1950. 6. 25.  38도선                         10  1950. 10. 25.
                        북한군 남침                                        중국군 개입 시작
              북한군, 중국군  서울                                              흥남
              북한군, 중국군
              국군, 국제 연합군  2  1950. 6. 28.  동  해  9  1950. 10. 19.
              국군, 국제 연합군
                         북한군 서울 점령       국군 · 국제연합군 평양 점령 후
                                         압록강 도달                                                13  1951. 7. 10.
                  황  해                                                                        휴전선  정전 회담 시작
             국제연합 참전국    대전                                                   동  해             14  1953. 7. 27.
                                                                                                정전 협정 체결
                              국군 · 국제연합군
             미국  그리스   3  1950. 7월 말  대구  4  1950. 8. 1.  평양                38도선
                        북한군              8  1950. 10. 1.                                         동  해
             영국  벨기에    낙동강 진출  낙동강 방어선   국군 38도선 돌파  동  해      황  해    서울
                              구축
             터키  캐나다         부산                38도선
                             5  1950. 8. 18.  황  해                       11  1951. 1. 4.  황  해
             태국  필리핀          임시 수도  6  1950. 9. 15.  인천  서울  7  1950. 9. 28.  12  1951. 3. 15.  1·4 후퇴
                                             국군 · 국제연합군
             호주  프랑스      남  해  부산 이전  국군 · 국제연합군  서울 수복            국군 서울 재수복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인천 상륙 작전
                        북한군 남침             인천 상륙 작전                      흥남 철수            정전 회담
             뉴질랜드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14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45
                                                                                                     145
             144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6·25 전쟁의 전개 과정과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전시 학습 내용 확인 및 동기 유발하기
             수업의 흐름                                          •  대한민국 정부 수립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 떠올리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법통과 정신을 계승한 정부가
             도입
                  • 6 · 25 전쟁 관련 사진 살펴보기                        수립되었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➊      6 · 25 전쟁의 전개 과정 알아보기
                                                             •  교과서 144  ~   147쪽에 제시된 사진을 살펴봅시다. 사진 속
             전개    ➋ 6 · 25 전쟁의 결과 알아보기                       에는 어떤 상황이 나타나 있나요?
                   ➌ 아! 그렇구나 6 · 25 전쟁이 남긴 상처
                                                              –  탱크와 군인들이 보이기 때문에 전쟁 상황인 것 같
             정리    6 · 25 전쟁의 전개 과정과 결과 정리하기
                                                                습니다.
                                                              –  군인들이 전쟁 중에 작전을 벌이는 상황인 것 같습
                                                                니다.
                                                              –  수많은 사람이 짐을 들고 걸어가고 있습니다.

                                                             •  (6·25 전쟁 관련 다양한 사진을 보여 주며) 다음 사진은
                                                              6·25 전쟁 당시를 찍은 사진입니다. 6·25 전쟁에 대해 보
                                                              다 자세하게 알아봅시다.


           272    각론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