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9 - ele_society_5-2_tutor
P. 269

교과서  138   쪽
                                                                    3.  1, 2번을 참고하여 김구, 여운형이 만들고자 했던
                                                                      나라의 모습을 써 보자.
                             8·15 광복을 맞이하여 되찾은                          2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이름과 글자, 그리고 신문                         예시 답안
                                                                                 의미를 알아볼까요                         2
                                                                      김구     자유가 보장되고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
                                               선 조
                                                                                                                   단원
                                                 이 름
                                                                       한반도의 분단 우리 스스로 우뚝 서서 세계 여러 나라와 협력하
                                                 복 령 구 에
                                              장  界 岳 松 鶴              여운형
                                               원                                                     무장 해제  항복한 군인의 무기
                                                                             는 나라
                                               교                       광복 이후 한반도에 남아 있던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38도선을
                                                 따 라                                                 를 빼앗거나 못 쓰게 하는 일.
                                                                       기준으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수 함 정
                                                                       되었다.                          군정  군대가 한 나라의 정부
                                                                                                     를 대신하여 해당 지역을 다스
                                               .
                                                                                                     리는 것.
                                      광복 이후 많은 것이 달라              ➍  별별이야기 _ 8·15 광복을 맞이하여 되찾은 이름과 글
                                                                        38도선 이북에 도착한 소련군(1945.8.)
                       일제  말기에  우리  민족은  일본식     졌다. 사람들은 한국식 이름
                       이름을 사용하였고, 한국어 교육이 금지  을 회복하고 호적에 자신의        자, 그리고 신문
                       되었으며, 일본어로만 수업해야 했다.  이름을 고쳐서 등록하였다.
                                                                  •  광복을 맞이해 어떤 것이 달라졌나요?
                                                그동안 금지되었던 한국어 교
                                               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글 교과
                                               서를 만들어 보급하였다.        –  한국식 이름을 회복하였습니다.
                                                                                                   38도선
                                                                                                 동  해
                                                                                                   38°N
                                                                       북한에서는 소련군이 군정을 실시하였다.
                                                                    –  그동안 금지되었던 한국어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한
                                                                                       황  해
                       광복 후 만들어진
                        한글 교과서
                                                                      글 교과서를 만들어 보급하였습니다.
                                 민 과 중
                              이 승 만           일제에 의해 폐간되었던 신문들도         38도선 이남에 도착한 미군(1945.9.)
                                 함 께         다시 발간되면서 새 나라의 소식을 전   –  폐간되었던 신문들도 다시 발간되었습니다.
                                박 사                                                          남  해
                                 나 가 라       할 수 있게 되었다.
                          8          이 15  에 서 독 립
                          ·                                        정리
                          후
                            정 계 의    통 에 로 일
                                                                                                 임시로 설정되었던 군사 분계선인 38
                            동 향                                                                  도선은 점점 굳어져 갔고, 38도선을 넘
                                                                     학습 내용 정리하기
                                                                                                 나들면서 이루어지던 교류가 끊어졌다.
                       광복 이후 다시 발행된 신문(1945. 11. 23.)
                                                                       남한에서는 미군이 군정을 실시하였다.
                                                                  •  8·15 광복의 과정과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한 노력을
                 138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정리해 봅시다.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39
                   138
                                                                     확인해요
                 ➋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한 노력 알아보기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  광복을 맞이해 어떤 움직임이 있었나요?
                                                                    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이 승리하면서, 우리나
                  –  여운형을 중심으로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 위한 단체                     라는 광복을 맞게 되었다. ( ◯, × )
                    를 조직하고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②  광복 직전 국내에 머무르던 김구는 새로운 나라 건
                  –  이승만을 비롯한 독립운동가들과 김구, 김규식 등                       설을 준비하는 단체를 조직하였다. ( ◯, × )
                    임시 정부 주요 인물들이 귀국하여 어떠한 나라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차시 예고하기
                                                                  •  다음 시간에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에 대해 공부하
                 ➌  탐구해요 _ 광복 당시 사람들이 세우고 싶었던 나라의
                                                                    겠습니다.
                   모습
                                                                    판서하기
                   1.  두 사람이 만들고 싶었던 나라와 관련된 중요 단어
                                                                    1. 8·15 광복의 과정
                     를 골라 동그라미 해 보자.
                                                                        한국의  끊임없는  독립운동과  일본의  항복으로
                   정답  김구–자유,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 / 여운형–어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함.
                   깨를 나란히 하면서 서로 협력                                 2.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한 노력
                   2.  두 사람이 만들고 싶지 않았던 나라의 모습과 관련                      여운형을 중심으로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 위한
                     된 문구에 밑줄 쳐 보자.                                    단체를 조직하고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노력함.
                                                                        이승만, 김구 등이 귀국해 어떠한 나라를 만들 것
                   정답  김구–독재의 나라 / 여운형–외부 세력에 의해
                                                                       인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함.
                   서 결정
                                                                                                         267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