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6 - ele_society_5-2_tutor
P. 266

교과서  134~135   쪽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그들도 사람이라고 생각하니, 더욱이 같은 언어와 같은 피를 나눈 동족이라고 생각하니 가슴이 답답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순간에도 제 귓속은 무서운 굉음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아무리 적이지만
                     6·25 전쟁                                      하고 무겁습니다.





                                산들이는 열무와 포항의 한 공원에 놀러 갔다가 1950    전쟁은 왜 해야 하나요? 저는 무서운 생각이 듭니다.   어머니! …… 저는 꼭 살아서 다시 어
                               년에 일어난 전쟁에 참여한 당시 중학교 3학년이던 이우                          머니 곁으로 돌아가겠습니다. 상추쌈
                               근의 편지비를 보게 되었습니다.                                       이 먹고 싶습니다.
             8·1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과정과 의의를
            알 수 있습니다.
             6·25 전쟁의 원인과 과
            정을  이해하고  영향과  결
            과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지를 부치지
                                                                   아! 놈들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다시 쓰겠습니다.
                                                                                       못하고 전쟁터에서   정말 슬픈 일이다.
                                                                                        죽었다고 해.






                                                                   1950년에 무슨 일이 있었기에 동족끼리 싸우게 되었을까요?



          13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35 135
            134







            도입 자료 소개                                         때 학생들이 왜 병사로 끌려갔을지 살펴보면서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쳤던 호국 영령들에 대해 생각해
             대한민국에서 학생들은 학교에서 선생님, 친구들과 함
                                                             보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께 열심히 공부하고 가정에서 부모님의 보살핌을 받으며
           평화로운 일상생활을 이어 가고 있습니다. 여러 방송과
                                                                       1950년에 무슨 일이 있었기에 동족끼리 싸우
           신문 기사, 인터넷 등을 통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게 되었을까요?
           나라 학생들의 평화로운 생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습니
           다. 그렇다면 옛날의 학생들도 평화롭게 생활했을까요?                     예시 답안

             6·25 전쟁이 일어난 직후, 전쟁 대비가 제대로 되어                   광복 이후 한반도에 미군과 소련군이 들어오면서 남과
           있지 않았던 국군은 북한군에게 계속 패하여 낙동강 이                     북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이후 남과 북 사이에 갈등이
           남까지 후퇴하게 됩니다.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학생                    커지게 되었고 1950년 같은 민족인 남한과 북한 사이에
           들은 연필 대신 총을 쥔 채 병사로 징집되었습니다.                      서 큰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북한군이 38도선을 넘어 남
             제시된 그림에서는 6·25 전쟁 당시 학도병으로 끌려                   한을 기습 공격하였습니다. 이후 북한이 남한의 여러 지
           간 학생의 편지를 보여 줍니다. 편지 속에는 참혹한 전쟁                   역을 점령하면서 전세가 급박해졌습니다. 이에 남한에서

           상황, 전쟁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 집에 가고 싶                  는 학생들을 병사로 동원하였고, 학도병들은 조국을 지
           은 마음 등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이를 통해 6·25 전쟁                 켜 내기 위해 치열한 전투를 벌였습니다.



           264    각론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