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0 - ele_society_5-2_tutor
P. 270

19~20 차시
                                         교과서  139   쪽

 8·15 광복을 맞이하여 되찾은   2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신탁 통치 문제를 둘러싼 갈등                     남북 갈등과 통일 정부 수립 노력
 이름과 글자, 그리고 신문         의미를 알아볼까요                                              미국과 영국, 소련의 대표들은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     국제연합은  남북한  총선거를  실시하여  통일된   남한이라도 임시 정부 또는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하여
                                                                              의를 열어 한반도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논의하였다. 이      정부를 한반도에 수립하기로 결정하고 유엔 한국   38도선 이북에서 소련이
                                                                                                                                           물러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회의에서 한반도에 민주적인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최대 5     임시 위원단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소련과 북한은
 조 선
                                                                              년 동안 신탁 통치를 실시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입국을 거부하며 국제연
   이 름
              한반도의 분단
   복 에 령 구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의  신탁 통치가 결정되면서 우리나라는 회의의 결정을 찬성  합의 결정에 반대하였다. 이에 국제연합은 선거가
 장  岳 松 界 鶴                                                                                                                                나는 통일된 조국을   이승만
   원           광복 이후 한반도에 남아 있던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38도선을   무장 해제  항복한 군인의 무기
   교                                                           신탁 통치  특정 국가가 일정   하는 사람들과 신탁 통치를 반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이 생겼다.   가능한 지역에서만 선거를 실시하여 정부를 세우  건설하려다가 38도선을 베고
   따 라                                      를 빼앗거나 못 쓰게 하는 일.  지역을 대신하여 통치하는 제도.                                                          쓰러질지언정 단독 정부를
              기준으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수 함 정                                                       미국, 소련, 영국, 중국이 신탁   1946년 3월, 한반도의 임시 정부 수립과 신탁 통치 문제 등을 논의  기로 하였다.      수립하는 데는 협력하지
              되었다.                          군정  군대가 한 나라의 정부   통치를 하는 것으로 결정함.   하기 위해 미국과 소련 간에 미소 공동 위원회가 열렸다. 여러 차례 회  일찍부터 이승만은 통일 정부 수립이 어렵다면   않겠다.
                                            를 대신하여 해당 지역을 다스
 .
                                            리는 것.              국제연합  제2차 세계 대전이   의가 열렸지만 두 나라 사이에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미국은 한  남한만이라도 빨리 정부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
                                                               끝난 후 세계 평화 유지를 목적
 광복 이후 많은 것이 달라                                                으로 만든 국제기구.   국의 독립 문제를 국제연합(UN)이 결정하도록 하였다.        였다.  반면  김구는  남한만의  총선거에  반대하며
               38도선 이북에 도착한 소련군(1945.8.)
 일제  말기에  우리  민족은  일본식     졌다. 사람들은 한국식 이름                                                                         평양에서  북한  지도자를  만나  통일  정부  수립을
 이름을 사용하였고, 한국어 교육이 금지  을 회복하고 호적에 자신의
 되었으며, 일본어로만 수업해야 했다.  이름을 고쳐서 등록하였다.                                 신탁 통치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논의하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찬성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새 나라를 준비할 동안만 다른 나라가
                                                                    세력은 각각 어떻게             통치해 준다고 생각했고, 반대하는       통일된  정부  수립을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는
                                                                     생각했을까?               세력은 신탁 통치가 식민 지배와 다를     가운데 결국 남한만의 5·10 총선거 실시가 결정되
                                                                                            것이 없다고 생각했어.
 그동안 금지되었던 한국어 교
 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글 교과                                                                                                 었다.                     통일 정부 논의를 위해 38도선을 넘는 김구
 서를 만들어 보급하였다.
                                        동  해
                                          38도선
                                          38°N
              북한에서는 소련군이 군정을 실시하였다.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의 결정 지지 집회
                              황  해                                                      신탁 통치 반대 집회                       제주 4·3 사건
 광복 후 만들어진
 한글 교과서
                                                                                                                                         1947년 제주도 3・1절 기념 행진에서 한 아이
   민 중 과       38도선 이남에 도착한 미군(1945.9.)
 만 이 승  일제에 의해 폐간되었던 신문들도                                                                                                                가 경찰이 타던 말에 치여 다치는 사건이 일어
   함 께  다시 발간되면서 새 나라의 소식을 전                                                                                                             났다.  분노한  주민들은  경찰에게  항의하면서
                                    남  해
   박 사
   나 가 라  할 수 있게 되었다.
                                                                                                                                         시위를 일으켰고, 그 과정에서 경찰이 총을 쏴
                                                                      3상 결정 절대 지지
 8                                                                                                                                       민간인 6명이 사망하였다.
 ·          이 15  립 독 서 에
 후                                                                                                                                       이러한 가운데 1948년 제주도의 일부 세력은
   정 의 계  일   통 로 에                                                                                                                      남한만의 단독 선거를 반대하고 통일 정부 수립
                                        임시로 설정되었던 군사 분계선인 38                             신탁 통치 절대 반대
   동 향
                                        도선은 점점 굳어져 갔고, 38도선을 넘                                                                           을  내세우며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미군정과
                                        나들면서 이루어지던 교류가 끊어졌다.                                                              제주 4·3 평화 공원 모자상  정부는 이들을 무력으로 진압하였고 그 과정에
 광복 이후 다시 발행된 신문(1945. 11. 23.)
              남한에서는 미군이 군정을 실시하였다.
                                                                                                                                         서 죄 없는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139        140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138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39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41
                                                               140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한반도의 분단 과정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를 설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명할 수 있다.
                                                             •  8·15 광복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졌나요?
             수업의 흐름                                           –  우리 민족의 끊임없는 독립운동과 일본의 항복으로
             도입    8 · 15 광복의 과정 떠올리기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습니다.
                                                             전개

                   ➊     한반도의 분단과 신탁 통치 문제를 둘러싼 갈

                     등 알아보기
                                                             ➊  한반도의 분단과 신탁 통치 문제를 둘러싼 갈등 알아보기
                   ➋ 남북 갈등과 통일 정부 수립 노력 알아보기
                   ➌ 아! 그렇구나 제주 4 · 3 사건                     •  광복 이후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었나요?
             전개
                   ➍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살펴보기                         –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38도선의 북쪽에는 소
                   ➎    탐구해요 대한민국 임시 헌법과 제헌 헌법의
                                                                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비교
                                                             •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의는 왜 열렸나요?
                   한반도의 분단 과정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
             정리    정리하기                                       –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열렸습니다.
                                                             • 이 회의에서 어떤 내용이 결정되었나요?
                                                              –  한반도에 민주적인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최대 5년
                                                                동안 신탁 통치를 실시하는 것이 결정되었습니다.
           268    각론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