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5 - ele_society_5-2_tutor
P. 275

수업 제안  6·25 전쟁의 전개 과정과 주요 전투 장면을 잘 보              지도상의 유의점
                   여 주는 사진을 제시하여 전쟁이 벌어진 상황임을 유추할 수 있               • 6·25 전쟁의 전개 과정 중에서 주요 전투와 관련된 영상이나
                   도록 추가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지도, 표 등의 추가 자료를 제시하여 해당 내용을 심화해서 이
                                                                      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지도상의 유의점  6·25 전쟁과 관련된 사진을 보고 사진 속 상                                                          2
                                                                    • 38도선과 휴전선을 지도상에서 보면서 두 선의 차이점과 이에
                   황을 유추할 수 있도록 질문을 제시하고, 허용적 분위기에서 여
                                                                      따른 영토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단원
                   러 가지 답변을 이끌어 낸다.
                                                                  • 정전 협정이 체결된 후 한반도 문제는 어떻게 되었나요?
                  전개
                                                                    –  1954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남북한을 비롯하여 미
                 ➊ 6·25 전쟁의 전개 과정 알아보기                                국, 소련, 중국 등 여러 나라가 한반도 문제의 평화

                 •  6·25 전쟁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적 해결을 위해 회의를 하였습니다.
                  –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한반도를 무력으로 통일                 –  하지만 양측의 주장이 좁혀지지 않아 성과 없이 끝
                    하기 위하여 38도선을 넘어서 공격을 하였습니다.                       났고, 한반도는 오늘날까지 휴전 상태로 남아 있게
                 • 6·25 전쟁이 시작될 당시 남한은 어떤 상황이었나요?                     되었습니다.

                  –  전쟁을 대비하지 못하였습니다.                                  수업 제안  6·25 전쟁이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라 휴전 상태
                                                                    임을 짚어 준다. 또한 한반도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 6·25 전쟁이 시작된 후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종전 협정의 필요성에 대해 토의해 볼 수 있다.
                  –  북한군에게 계속 패배한 국군은 낙동강 이남까지 후
                    퇴하였습니다.                                         판서하기
                  –  국제연합은 16개국이 참여한 국제연합군을 남한에                     1. 6·25 전쟁의 전개 과정
                    파병하고 물자를 지원하였습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38도선 이남으로 내려

                 •  어떤 사건을 계기로 전쟁의 상황이 국군과 국제연합군에                      와 공격을 시작함.
                   유리하게 되었나요?                                           국군이 낙동강 이남까지 후퇴함.
                                                                        국제연합군이 남한에 파병하고 물자를 지원함.
                  –  국군과 국제연합군이 인천 상륙 작전을 통해 서울을
                                                                        국군과 국제연합군이 인천 상륙 작전으로 서울을
                    되찾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되찾고 압록강까지 진격함.
                  –  이후 38도선을 넘어 평양을 비롯한 북한의 대부분
                                                                        중국군이 전쟁에 개입해 국군과 국제연합군이 다시
                    지역을 차지하고 압록강까지 진격하였습니다.
                                                                       후퇴함.
                 •  국군과 국제연합군이 다시 후퇴하게 된 까닭은 무엇인가                       38도선 부근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임과 동시에 정
                   요?
                                                                       전 회담 시작
                  –  중국군이 북한군을 돕기 위해 전쟁에 개입하였기 때                        1953년 7월, 정전 협정이 체결됨.

                    문입니다.
                                                                    교과서 자료
                 • 이후의 상황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교과서 145쪽 용어 정전 협정
                  –  38도선을 중심으로 양측은 치열한 전투를 벌였습
                                                                       정전 협정은 6·25 전쟁을 중단하기 위해 유엔군과
                    니다.
                                                                     조선 인민군, 중국 인민 지원군 간에 1953년 7월 27
                  –  전쟁을 멈추기 위한 회담이 진행되었습니다.
                                                                     일 체결되었다. 당시 대한민국은 국제연합군의 지휘
                 • 정전 회담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를 받아서 전쟁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협정의 체결 주
                  –  2년여 동안 정전 회담을 한 끝에 1953년 7월, 정전                 체에서 빠져 있었다.
                    협정이 체결되면서 휴전선이 그어졌습니다.                             정전  협정  이후  협정  조인에  따라  비무장  지대
                 • 38도선과 비교하여 휴전선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DMZ)와 군사 분계선(MDL)이 만들어졌으며, 정전
                  –  남한이 강원도 쪽 영토를 더 차지하였고 개성 쪽 영                    협정을 감독하기 위해 군사 정전 위원회 본부가 판문
                                                                     점에 설치되었고, 중립국 감시 위원단도 구성되었다.
                    토를 빼앗겼습니다.


                                                                                                         273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