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7 - ele_society_5-2_tutor
P. 277

➌ 아! 그렇구나 _ 6·25 전쟁이 남긴 상처                            지도상의 유의점  이산가족 문제와 해외 입양아 문제 이외에도
                 •  교과서 147쪽의 자료를 봅시다. 6·25 전쟁이 남긴 상처는              6·25 전쟁 참전 용사 대우 문제 등을 다룰 수 있다. 6·25 전쟁 참
                                                                    전 용사의 경우 경제적·사회적으로 제대로 대우받고 있지 못하고
                   어떤 것이 있나요?
                                                                    있는 사례를 영상이나 신문 기사 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
                  –  6·25 전쟁 이후 수많은 이산가족이 발생하였습니다.                                                                 2
                  –  6·25 전쟁으로 10만 명이 넘는 전쟁고아가 생겨났                                                                 단원
                    습니다.                                           정리
                 •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있었나요?                    학습 내용 정리하기
                  –  1983년 KBS를 통해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               •  6·25 전쟁의 전개 과정과 결과를 정리해 봅시다.
                    니다」를 방영하여 이산가족을 찾아 주었습니다.
                                                                     확인해요
                 •  1983년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방영 결과는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어땠나요?
                  –  10만 건이 넘는 신청이 접수되었고 그중 5만 건이                     1953년 7월 ( 휴전선 )이/가 그어지면서 남과 북이

                    방송에 소개되어 10,189건의 이산가족이 상봉하였                    분단되었다.
                    습니다.
                 • 오늘날 이산가족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나요?                         차시 예고하기
                  –  수많은 이산가족이 가족을 만나기 위해 기다리고 있                  •  다음 시간에는 ‘뚝딱뚝딱 정리하기’로 중단원을 마무리하
                                                                    겠습니다.
                    지만,  신청자들이  고령화되면서  이산가족을  만날

                    가능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 전쟁고아와 관련해 어떤 문제가 발생했나요?                          판서하기
                  –  10만 명이 넘는 전쟁고아를 돌보고 관리하는 데 어                   2. 6·25 전쟁의 결과
                    려움을 겪었습니다.                                          수많은 사람이 죽거나 다침.
                 •  전쟁고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어떤 노력을 했나요?                    수많은 이산가족과 전쟁고아들이 생겨남.
                                                                        생산 시설, 건물, 도로, 철도 등 주요 시설물이 파
                  –  1954년부터 사회 복지 기관을 통해 해외 입양 사업
                                                                       괴됨.
                    을 시작하였습니다.
                                                                        수많은 문화재가 훼손되거나 불타 없어짐.
                  –  그 결과 부모를 잃은 수많은 아이들이 미국을 비롯
                                                                        남북한이 서로에게 적대감과 상처를 남김.
                    한 외국으로 입양되었습니다.
                                                                        이산가족 문제, 남북 교류와 평화 통일 문제 등이
                 • 전쟁고아의 해외 입양은 언제까지 진행되었나요?                           남아 있음.
                  –  1980년대 경제가 발전하면서 해외 입양이 크게 줄었
                                                                    교과서 자료
                    으나,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147쪽 용어 6·25 전쟁의 경제적·사회적 결과
                     수업 제안
                                                                       6·25 전쟁은 경제적으로는 한국 경제에 엄청난 타
                   • 이산가족 문제와 해외 입양아 문제 모두 구체적인 사례를 제
                                                                     격을 주었다. 산업 생산 시설이 파괴되었고, 일반 주
                    시하여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문제
                    임을 떠올리게 한다.                                      거용 주택은 약 60만 호가 파괴되었으며, 철도는 전
                   • 이산가족 문제의 경우 2015년 제20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할              체 시설의 약 47%가 손해를 입었다. 철도를 비롯한
                    때 화제가 되었던 65년 만에 다시 만난 남편과 아내 그리고 아              도로와 교량 등 사회 간접 자본의 훼손도 매우 컸다.
                    들의 사례(‘살아 있어 줘서 고마워요’)를 영상이나 신문 기사                 또한 사회적으로 민족 대이동을 초래하였다. 6·25
                    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                                    전쟁 동안에만 약 29만 명이 월북하였거나 납북되었
                   • 해외 입양아 문제의 경우 해외로 입양된 이후 자신의 뿌리를
                                                                     으며, 약 45만 ∼ 65만 명이 월남한 것으로 추정된다.
                    찾기 위해 한국에 부모를 찾으려고 돌아온 사례를 영상이나
                                                                     이 과정에서 전통문화가 해체되었다.
                    신문 기사 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


                                                                                                         275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