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3 - ele_society_5-2_tutor
P. 273

➎  탐구해요 _ 대한민국 임시 헌법과 제헌 헌법의 비교                    판서하기

                       대한민국 임시 헌법과 제헌 헌법을 비교해 보자.                   4.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
                                                                        남한에서 1948년 5월 10일, 국회 의원을 뽑는 총
                   1.  의 제1조와 관련된 단어를 에서 찾아 동그라미                                                                 2
                                                                       선거가 실시됨.
                     해 보자.
                                                                        제헌 국회가 7월 17일, 헌법을 제정하고 공포함.               단원
                   정답  대한민국의 주권은 대한 인민 전체에게 있다.                         헌법에 따라 제헌 국회 의원들이 선거에서 이승만

                   2.  , 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주권자는 누구                      을 대통령으로 선출함.
                                                                        이승만 대통령이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인지 말해 보자.
                                                                       수립을 선포함.
                   정답  국민
                                                                    5. 북한의 정권 수립
                   3.  1, 2번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와 의 관련성을                     1948년 9월,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이라는 이
                     정리해 보자.
                                                                       름으로 별도의 정권을 세움. → 우리나라가 남과
                   예시 답안                                               북으로 나뉨.
                    제헌 헌법은 대한민국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계승                     교과서 자료
                   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교과서 142쪽 용어 5·10 총선거
                     지도상의 유의점  두 헌법의 비교를 통해 대한민국 정부가 대                                     남한만의 정부 수립을
                   한민국 임시 정부의 법통과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유추                                     위해 유엔 한국 임시 위
                   할 수 있도록 핵심 단어를 중심으로 밑줄을 치게 한다.                                        원단의 감시하에 1948년
                                                                                         5월 10일, 총선거가 실시
                                                                                         되었다.  이  선거는  북한
                                                                                         지역이 제외되었을 뿐만
                                                                                         아니라, 남한 지역에서도
                  정리
                                                                                         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단
                    학습 내용 정리하기                                       ▲ 5·10 총선거 포스터      체와 개인들이 불참한 가
                 •  한반도의 분단 과정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를 정리                   운데 치러졌다는 한계가 있다. 선거를 통해 국회 의
                   해 봅시다.                                            원을 선출하였는데, 투표자가 선거인 명부 등록자 중
                                                                     의 95.5%로 우리나라 역대 선거 사상 최고의 투표율
                    확인해요
                                                                     이었다. 이는 모든 국민이 정부 수립에 대한 열망이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매우 컸음을 보여 준다.
                   ①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이 한반도에 들어오면서 남                     교과서 143쪽 용어 대한민국 임시 헌법
                     한과 북한은 1948년 5월 10일 동시에 선거를 실시                    일제 강점기에 상하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하였다. ( ◯, × )                                   정부의 헌법으로, 3·1 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3·1
                   ②   1948년 8월 15일,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으로 하는                운동 이후 국내외에서 수립된 여러 정부가 제정한 법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선포되었다. ( ◯, × )                     률을 기초로 하였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다섯 차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의에서 한반도에 민주적                    례 임시 헌법을 개정하면서 광복이 될 때까지 독립운
                     인 임시 정부 수립과 신탁 통치 실시가 결정되었다.                    동을 이끌었다.
                                                   ( ◯, ×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임시 헌장(1차 개헌)에서 입법
                                                                     권은 임시 의정원, 행정권은 국무원, 사법권은 법원

                    차시 예고하기                                          이 행사한다고 되어 있다. 제헌 헌법에서도 입법권은
                                                                     국회, 행정권은 정부, 사법권은 법원에 두는 삼권 분
                 •  다음 시간에는 6·25 전쟁의 전개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공
                   부하겠습니다.                                           립의 원칙을 적용하였다.


                                                                                                         271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