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2 - ele_society_5-2_tutor
P. 272

19~20 차시
                                                                                      교과서  142~143   쪽


               대한민국   초) 사회 5-2 / 2-3단원 본문 젤리 캐릭터
              정부 수립 과정을          5·10 총선거(1948. 5. 10.)              대한민국 임시 헌법과 제헌 헌법의 비교
                       초) 사회 5-2 / 2-3단원 본문 젤리 캐릭터
              알아볼까요?  걸어가는 젤리  줄서있는 젤리                                  대한민국 임시 헌법과 제헌 헌법을 비교해 보자.
                         걸어가는 젤리  줄서있는 젤리
                                     초) 사회 5-2 / 2-3단원 본문 젤리 캐릭터     가    대한민국 임시 헌법(1919년)
                                     초) 사회 5-2 / 2-3단원 본문 젤리 캐릭터
                                                                       우리 대한 인민은 독립국임과 자유민임을 선언하도다.
                                      걸어가는 젤리  줄서있는 젤리
                                       걸어가는 젤리  줄서있는 젤리
                                                                       제1장 총령
                                                                       제1조 대한민국은 대한 인민으로 조직한다.
             남한에서는 1948년 5월 10일, 정부 수립                                 제2조 대한민국의 주권은 대한 인민 전체에게 있다.
                                  5・10 총선거에 참여하는 사람들
                                                                       제4조 대한민국의 인민은 모두 평등하다.
             을 위해 국회 의원을 뽑는 선거가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5・10 총선거는 21세 이상 성인   제헌 국회 개원(1948. 5. 31.)
                                                                      나   제헌 헌법(1948년)
             남녀의 투표권을 인정한 첫 투표였다.                                      우리 대한 국민은 3・1 운동으로 건립한 대한민국의 독립 정신을 계승하여 이제 민주
                                                                       독립 국가를 다시 세운다. …… 사회의 나쁜 관습은 없애고 민주주의 제도를 수립하여……
                                                                       제1장 총강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국이다.
                제헌 헌법 공포(1948. 7. 17.)                                 제2조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제헌 국회 개원식
                                                                     1   나   의 제1조와 관련된 단어를  가   에서 찾아 동그라미 해 보자.
                                  이 선거를 통해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제헌

                                 국회가  구성되었다.  제헌  국회는  7월  17일,
                                                                     2  가   ,  나   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주권자는 누구인지 말해 보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계승한  헌법을  제정
                                 하였고,  이를  공포하였다.  이후  헌법에  따라
                대한민국 헌법 공포 기념 우표
                                 제헌  국회  의원들이  선거를  하여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3   1, 2번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가   와  나   의 관련성을 정리해 보자.
                 대한민국 정부 수립(1948. 8. 15.)
                                  이승만 대통령은 정부를 구성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선포하였         제헌 헌법은 대한민국이    을/를 계승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다.  한편  북한에서도  1948년  9월,  조선  민
                                 주주의 인민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정권을  세우면서  우리나라는  남과  북으로           1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이 한반도에 들어오면서 남한과 북한은 1948년 5월 10일 동시에 선거를
                                                                      실시하였다.  ( ◯,  ×  )
                                 나뉘게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기념식                                    2    1948년 8월 15일,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으로 하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선포되었다.  ( ◯,  ×  )
                                 공포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림.
                                                                                                     143
          142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3.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6·25 전쟁 143
             142
           ➍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살펴보기                                • 남한만 정부를 수립하였나요?
           •  남한만의 총선거는 언제 실시되었나요?                            –  아니요. 북한에서도 1948년 9월, 조선 민주주의 인
             –  1948년 5월 10일, 정부 수립을 위해 국회 의원을 뽑                민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정권을 세우면서
               는 총선거가 실시되었습니다.                                  우리나라가 남과 북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 5·10 총선거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역사적 의미는 무엇일까요?
             –  우리나라에서 21세 이상 성인 남녀의 투표권을 인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전통을 계승하는 독립된 정부
               정한 첫 투표였습니다.                                     가 수립되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국민의 손으로 대표를 뽑는 첫 선거였                   –  민족의 오랜 염원인 독립된 정부를 수립하였습니다.
               습니다.
                                                                                            지도서 부록 356쪽
           • 선거를 통해 구성된 제헌 국회는 어떤 일을 했나요?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계승한 헌                 대한민국 정부 수립 말판 놀이 하기
               법을 제정하였고, 이를 공포하였습니다.                           –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에서 있었던 일을 익히기
             –  헌법에 따라 제헌 국회 의원들이 선거를 하여 이승                      위해 짝꿍과 말판 놀이를 하게 한다.
               만을 대통령으로 선출하였습니다.                               –  재미있는 놀이를 통해 시대별 흐름 및 단원의 핵심
           •  이승만은 대통령으로 선출된 이후 어떤 일을 했나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정부를 구성하였습니다.
                                                                 수업 제안  18차시(광복 이후 국내외의 움직임)와 19 ~ 20차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선포하였               시(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를 한 번에 정리하는 활동으로 진
               습니다.                                           행할 수 있다.


           270    각론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