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7 - ele_society_5-2_tutor
P. 267

1  중단원 개관                                        4  중단원 주요 개념 및 용어 해설

                   이 단원에서는 8·15 광복과 남북 분단의 과정, 대한민                신탁 통치
                 국 정부 수립 과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살펴                     신탁 통치는 국제연합(UN)의 요청을 받은 국가가 유                  2
                 본다. 또한 6·25 전쟁의 원인과 과정 및 이에 따른 결과                엔 총회 및 신탁 통치 이사회의 감독을 받아 일정한 지역
                                                                                                                   단원
                 와 영향을 살펴본다. 이때 다양한 역사 자료와 인물, 역                  이 자체 통치 능력을 갖출 때까지 대신하여 통치해 주는
                 사적 사건의 흐름을 이해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                    제도를 의미한다.

                 였다.                                                당시 연합국은 카이로 회담, 얄타 회담, 포츠담 회담
                   이를 위해 18차시에서는 8·15 광복의 과정과 김구, 여               등을 연쇄적으로 개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2차 세계
                 운형 등 당시 사람들의 생각이 담겨 있는 글과 연설을 살                  대전이 종결되기 전에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대한 전후
                 펴보고 새롭게 세우고 싶었던 나라의 모습을 탐구하도록                    처리 문제에 대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였다.
                 한다. 19~20차시에서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과정을                     결국 연합국의 전후 처리 문제에 대한 합의는 1945년

                 순차적으로 살펴본 뒤 제정된 헌법을 통해 정부 수립의                    12월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미국, 영국, 소련 간의 3국 외
                 의의를 생각해 보도록 한다. 21~22차시에서는 6·25 전                무 장관 회의에서 결정되었다. 이 회의에서 3개국은 한
                 쟁의 전개 과정과 결과를 살펴보고 오늘날까지 미치는                     국에 임시 민주 정부를 수립하고 이 정부와 연합국이 협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의하여 최대 5년간의 신탁 통치를 실시할 수 있다는 결
                                                                  정서에 합의하였다. 하지만 이로 인해 국내의 좌익과 우

                                                                  익이 신탁 통치 찬성과 반대로 나뉘면서 정국은 혼란에
                  2  중단원 목표                                       휩싸이게 되었다.


                           • 8·1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과정을 파         6·25 전쟁의 결과
                             악할 수 있다.                               6·25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군이 기습
                    지식
                           • 6·25 전쟁의 원인과 과정 및 그 영향을 설명할 수
                                                                  적으로 남한을 불법으로 침략함으로써 일어난 전쟁이다.
                             있다.
                                                                  6·25 전쟁은 동족상잔의 비극이자 냉전 시대 최대 규모
                            다양한 역사 자료를 활용해 8·15 광복 이후부터
                    기능                                            의 국제 전쟁이었다.
                            6·25 전쟁까지의 과정을 조사하고 정리할 수 있다.
                                                                    6·25 전쟁의 결과 남과 북 사이의 적대감은 더욱 깊어
                            8·15 광복 이후 남북한의 평화 통일과 인류의 발전
                  가치·태도
                            을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기른다.                    졌다. 남북의 지도자 이승만과 김일성은 6·25 전쟁을 각
                                                                  각 독재 권력 강화에 이용하였고, 분단 체제는 고착화되
                                                                  었다.

                  3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5  참고 자료 및 누리집

                                8·15 광복과 분단의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2』, 휴머
                                  과정 살펴보기
                                                                   니스트, 2016.
                                                    대한민국
                                                                   -  이야기 형식으로 쓰여 있어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8·15 광복       정부 수립의 의미         의미와 6·25          이고 사진과 지도, 도표, 일러스트를 통해 학생들이
                                    파악하기            전쟁의 아픔           흥미롭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해하기
                                                                  • 박시백, 『35년』, 비아북, 2020.
                                6·25 전쟁의 원인과                       -  독립운동과 광복의 과정을 주요 인물과 사건을 중심
                                  결과 이해하기
                                                                     으로 만화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65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