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3 - ele_society_5-2_tutor
P. 283
께 흥남으로 몰려든 약 10만 명의 피난민들을 선박 편으 이산가족 찾기
로 남쪽으로 철수시킨 세계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해상 철
수 작전이라고 할 수 있다.
2
대규모 해상 철수 작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피해 없이 남쪽 해상으로 철수하는 데 성공하는 기적을 단원
일구어 냈다. 이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이들의 공적
을 기념하기 위해 거제 포로수용소 유적 공원에는 10만
명의 목숨을 구한 6명의 영웅의 얼굴이 부조로 새겨져
있다.
- 이원희, 「6·25 전쟁 시 피난민 보호 활동에 대한 연구,
노근리 사건과 흥남 철수 작전을 중심으로」,
▲ 이산가족 상봉 모습
육군군사연구소, 2017, 240~259쪽 -
이산가족이란 ‘구성원이 본의 아니게 흩어짐으로써 서
로 만날 수 없게 된 가족’으로, 한국에서는 특히 ‘남북 분
정전 협정의 의미 단 등의 사정으로 흩어져서 서로 소식을 모르는 가족’을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정전 협정은 6·25 전쟁을 의미한다.
마무리하는 결과물로서 전쟁의 중단을 의미하는 군사적 이산가족 상봉을 둘러싼 정부와 민간 사회단체 차원
성격을 가지고 있는 협정이자 남북한이 최초로 체결한 에서의 노력은 1970년대부터 진행되어 왔다. 1971년 8
군사적 성격을 가진 협정이라고 할 수 있다. 월 21일 대한 적십자사는 북한 측에 1천만 이산가족 찾
정전 협정의 의미 및 역할에 대한 평가를 보면 양면성 기 운동을 위한 회담을 제의하였다. 북한이 그로부터
을 가지고 있다. 먼저 긍정적인 측면을 보면 정전 협정이 1년 뒤에 이를 받아들여 1972년 8월 29일부터 9월 2일
전쟁을 중단시키고 전쟁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과 역할 에 걸쳐 남북 적십자사 본회담이 평양에서 개최되었다.
을 하였다는 주장이다. 반면 부정적인 측면을 보면 정전 여러 차례 회담이 개최된 결과, 1985년 8월 제9차 남북
협정은 한반도의 분단을 고착화하고 새로운 체제로의 전 적십자사 본회담을 통해 고향 방문단 교환이 성사되면
환을 시도하지 못하였다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 정전 협 서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북한에서는 81
정을 제대로 이행하였다면 오늘날까지 분단이 지속되지 명이 서울을 방문하였고, 한국에서는 76명이 평양을 방
않고 새로운 체제로 전환을 하였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 문하여 가족들을 만나게 되었다.
견이다. 이후 이산가족 상봉은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다
정전과 휴전은 다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정전은 서 가 2000년, 김대중 정부 시기 「6·15 남북 공동 선언」이
로 합의에 의해 전쟁 당사국들이 일시적으로 전쟁을 중 채택되면서 재개되었다. 이후 정부는 이산가족과 관련
단한 상태를 말하는 반면에 휴전은 전쟁 중 얼마 동안 전 된 사안을 정부와 민간이 할 수 있도록 확대하였다.
투를 멈춘다는 의미로, 정전보다는 더 나아간 상태로 준 4,912건의 이산가족 상봉 건수가 있었고, 24,509명(방
평화 상태라고 해석하고 있다. 정전과 휴전을 혼용하는 북·방남·화상 면담)이 가족들을 만났다. 정부 당국과 민
것은 결과적으로 전쟁 당사국이 전쟁을 일시적으로 중 간 시민 단체의 노력으로 현재까지 27,925명의 상봉이
단하였다는 측면에서 결과가 같다는 데에서 기인하고 성사되었다.
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6·25 전쟁은 정전 협정의 통일부 이산가족 정보 통합 시스템에 기록된 이산가
결과 잠시 전쟁을 멈춘 상태로, 전쟁이 종결되었다는 의 족 등록 현황에 따르면 2019년 4월 30일 기준으로 이산
미가 아니라는 점을 상기하여야 할 것이다. 가족 신청자는 133,299명으로 집계되었다.
- 박광득, 「제4장 정전 협정(1953)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 - 여현철, 「남북 이산가족 교류 현황과 문제 해결 방안」,
한국통일전략회의, 2014, 97~133쪽 -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2019, 38~49쪽 -
281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