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 - ele_society_5-2_tutor
P. 62
2 사회과 교과용 도서의
구성 및 활용
1 교과서 1. 개발 방향
•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려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격’, ‘목표’, ‘내용 체계와 성취 기
준’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한다.
• 초등학교 5~6학년군 및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고, 초등학생의
일반적인 인지 발달 수준과 경험에 적합하도록 내용을 구성한다.
• 융·복합적 사고력과 통찰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창의적 사고력·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정보 활용 능력 등 사회과 교과 역
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 학습량이 적정화될 수 있도록 교과 내용을 구성하며, 학습 내용과 생활 경험을 연관시
켜 학생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 방법을 제시하
여 주제 중심, 활동 중심, 탐구 중심의 교과서가 되도록 개발한다.
•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 및 자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교과서 활용의 편의성을 높이
고, 교과의 핵심적이며 필수적인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자기 주도 학습 및 협력 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발한다.
• 우리 지역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성을 파악하고 향토애
를 기를 수 있도록 구성한다.
• 사회 현상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민주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도
록 구성한다.
• 지역의 역사를 중심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람들의 생활 모습의 변화를 이해하고,
현재 우리의 삶과 과거와의 관련성을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2. 구성 체제 및 활용
교과서는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따라 주제 중심, 활동 중심, 탐구 중심의 교과서가 되도
록 구성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재구성하도록 의도한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리
면서 단원 구성은 대단원–중단원–주제의 순으로 하였다.
대단원
중단원
• 딩동댕 단원
• 주제별 본문, 아! 그렇구나 마무리
단원 도입
생각이 • 탐구해요, 활동해요 뚝딱뚝딱 • 창의·융합
활짝 • 별별 이야기, 궁금해요 정리하기 놀이터
• 확인해요
60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