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ele_society_5-2_tutor
P. 63
가. 도입
[ 단원 도입 ]
단원명을 제시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 기준을 질문으로 제시하여 이 단원에서 배
울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재미있는 도입 활동을 통해 단원의
내용을 미리 짐작해 보고 학습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고조선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나라의 성장과 문화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들과 그들의 삶을 살펴본다. 또한 우리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알아
보면서 우리 문화가 지닌 우수성을 탐구할 수 있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옛날 사람
동 해
들이 남긴 문화유산이 많이 기원전 2333년 고조선 건국(『동국통감』)
있다. 왼쪽 그림을 보고 어느
지역에 어떤 문화유산이 있는지 기원전 57년 신라 건국(『삼국사기』)
살펴보자. 나라의 등장과 발전
기원전 37년 고구려 건국(『삼국사기』)
여러 나라는 어떻게
성장했을까요?
기원전 18년 백제 건국(『삼국사기』)
676년 신라, 삼국 통일
옛사람들의 황 해 698년 발해 건국
삶과 문화 있는 문화유산을 찾아 표 하고, 독창적 문화를 발전시킨 고려 918년 고려 건국
왼쪽 그림에서 내가 알고
고려의 과학 기술과 문화의
우수성을 알아볼까요?
짝과 함께 이야기해 보자.
993년
서희, 외교 담판
1392년 조선 건국
1443년 훈민정음 창제
펼쳐 보세요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조선을 세운 사람들은 어떤 1592년 임진왜란 발발
나라를 만들고 싶어 했을까요?
1636년 병자호란 발발
남 해
기원 햇수를 세는 기준이 되는 해로
기원전(B.C.), 기원후(A.D.)로 나뉨.
[ 생각이 활짝 ]
일상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삽화 이야기로 구성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회 현
상을 친숙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삽화 이야기는 본 차시와 연계되는 전체적인 맥
락을 담고 있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고 효과적으로 학습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확장형 질문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배경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이야
기를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나라의 등장과 여기는 나정이라고 해. 아주 먼 옛날, 이 지역에는 여섯 개의 마을이
아빠가 이곳과 관련된
신기한 이야기를 해 줄게.
발전 시후는 사람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네? 있었어. 어느 날, 여섯 마을의 촌장이 나라를
하면 믿을 수 있니?
세우고 왕을 정하기 위해 회의를 하고 있었지.
사람이 알에서 촌장 한 마을의 우두머리.
태어났다고요?
고조선 이후 여러 나라가 성장하는 모습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여러 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살펴보고 문화의 우수성을
말할 수 있습니다. 그때 한 촌장이 우물가에서 흰말이 무릎을 얼마 후 알에서 남자아이가 나왔는데, 그
꿇고 우는 모습을 보았어. 촌장들이 그곳으로 남자아이가 바로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야.
가 보니 흰말은 사라지고 알이 하나가 있었어.
시후는 아빠와 함께 경주에 왔습니다. 여러 문화유산을 찾아 새로운 사회를 조선 후기에 돈을 받고 책을 빌려주는 세책점이 세책점 주인은 인기 있는 소설을 베껴서
도장을 찍으며 여행하던 중, 나정이라는 곳에 도착했습니다. 생겼어요. 만든 책을 빌려주었습니다.
향한 움직임 돈을 받고 책[冊 - 책]을
빌려준다고 하여
[貰 - 빌려주다]
세책점이구나!
아빠,
이곳은 어디예요? 여기는 사람이 이런 이야기를 건국 신화라고
호야는 국립중앙도서관에 갔다가 조선 시대 세책점을
도장을 찍는 곳이 없네요? 알에서 태어났다는 게 하는데, 박혁거세뿐만 아니라
사실일까요? 다른 나라의 왕들도 알에서 태어났다는 1800년대 후반에 가장 인기 있는 책은 한글 한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책
그대로 만들어 놓은 전시실을 보았습니다.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어. 신화의 내용을 을 빌릴 수 있었어요. 특히 여성들에게 인기
모두 믿을 수는 없지만, 생각해 볼 소설인 『춘향전』이었다고 해요. 가 많았대요.
영・정조의 개혁 정책과 내용도 있단다.
서민 문화의 발달을 통해
이제 도장 찍는 조선 후기 사회 모습을 알
칸이 세 개 수 있습니다.
남았네. 왕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면 옛날 사람들은 왕을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조선의 사회 개혁을 위해
노력한 인물들의 서로 다른
주장이나 생각을 살펴보고
비교할 수 있습니다.
12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 나라의 등장과 발전 13 세책점 주인은 돈을 많이 벌기 위해 중요한 장면은 다음 권에 넣었다고 해요.
다음 내용이
정말 궁금했겠네.
조선 시대에도 책방이
있었구나.
조선 후기 책 읽는 사람들이 늘어난 배경은 무엇일까요?
86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87
61
2. 사회과 교과용 도서의 구성 및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