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 ele_society_6-1_tutor
P. 134
1~2 차시
교과서 14~15 쪽
1 4·19 혁명과 시민들의 노력을 이겨 집권을 이어 나가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승만 정부는 선거 정부통령 선거 대통령과 부통
이승만 정부는 1960년 3월 15일에 치러지는 정부통령 선거에서도
령을 함께 뽑는 선거.
알아볼까요
에서 많은 표를 얻기 위한 계획을 세워 실행에 옮겼고, 그 결과 선거
에서 승리하였다.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 시도
우리나라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계속해서 권력을 유지하고자 이승만 정부의 선거 계획
이승만 정부의 하였다. 이를 위해 헌법을 바꿔 가며 대통령에 잇달아 당선되었다.
헌법 개정 이승만 정부는 선거에서 많은 표를 얻기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에 옮겼다. 이를
당시 선거법의 내용과 비교하며 물음에 답해 보자.
반대하는 사람은
없겠지 ?
대통령은 국회에서 투표의 비밀은 투표를 위조하거나 투표수를
간선제로 뽑는다. 1960년 당시
찬성 보장해야 한다. 증감한 자는 징역에 처한다.
같은 사람은 두 번까지만 정부통령
대통령을 할 수 있다. 선거법 -제47조 중- -제90조 중-
찬성
기존 헌법에는 대통령을 간선제로
뽑았다. 이승만은 간선제로 다시 대통령이
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공포 분위기 선거인 중 40%의 표를 자유당 투표지를 자유당 선거 위원에게
헌법을 바꾸기 위한 사사오입(반올림)하면 를 조성하여 대통령 간선제를 직선제 후보의 표로 찍어 놓고 미리 검사받고 투표함에 넣게 한다.
찬성 인원이 1명 부족하여 찬성 인원이 부족하지 않으므로 로 바꾸었다(1952년). 투표함에 넣어 둔다. 자유당 찍었는지
헌법을 바꿀 수 없습니다. 헌법을 바꾸겠습니다. 이승만 정부의 투표 시작 전에 검사 좀 합시다.
3·15 선거 계획 미리 넣어 놔야지.
이틀 후 일부분
대통령은 국회에서 간선제로 뽑는다.
직선제
같은 사람은 두 번까지만
대통령을 할 수 있다.
※ 단, 초대 대통령은 계속 할 수 있다.
자유당 당시 이승만이 속해 있던 정당.
1 의 선거법과 그 선거법을 위반한 의 선거 계획을 서로 연결해 보자.
직선제로 당선된 이승만은 이어서 자신이
대통령을 계속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개헌안을 통과시켰다(1954년).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2 1 번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1960년 3월 15일 선거는 정당한 선거였는지 써 보자.
간선제 국민이 선거인단을 뽑고, 그 선거인단이 대표를 뽑는 제도. 이러한 헌법 개정을 거쳐 이승만은
직선제 국민이 직접 대표를 뽑는 제도. 연이어 대통령이 되었다.
14 14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15 15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 시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동기 유발하기
4·19 혁명 당시 시민들의 노력을 파악할 수 있다.
• 오늘날 대통령 선거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있나요?
수업의 흐름 – 국민이 직접 투표를 해서 뽑습니다.
도입 오늘날 대통령 선거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 대통령 임기가 5년입니다.
– 누구나 한 번만 대통령이 될 수 있습니다.
➊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 시도 알아보기
➋ 탐구해요 이승만 정부의 선거 계획 •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될 당시에도 똑같았을까요?
전개
➌ 4 · 19 혁명의 과정 알아보기 – 오늘날과 같았을 것 같습니다.
➍ 4 · 19 혁명의 결과와 의의 파악하기
– 대통령이 일을 잘하면 두 번까지 대통령을 할 수 있
• 4 · 19 혁명의 원인, 과정, 결과 정리하기 었을 것 같습니다.
정리
• 4 · 19 혁명 당시 시민들의 노력 정리하기
전개
➊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 시도 알아보기
• 우리나라의 초대 대통령은 누구인가요?
– 이승만입니다.
132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