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8 - ele_society_6-1_tutor
P. 138
3~4 차시
교과서 18~19 쪽
2 5·18 민주화 운동의 과정과 유신 헌법이 만들어지자 학생들과 각계각층의 시민들은 유신 헌법
의미를 알아볼까요 에 반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여 나갔다. 박정희 정부는
이를 탄압하면서 권력을 유지해 나갔으나, 유신 헌법 반대 투쟁은
계속되었다.
5·16 군사 정변과 유신 헌법
◯◯일보 1973년 10월 11일 ◯◯일보 1975년 2월 17일
군사 정변(쿠데타) 군인들이 4·19 혁명 이후 국민은 민주적인 사회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일보 1973년 12월 24일
무력으로 정권을 잡는 행위. 속 항
구 저
“ 개
정부가 들어선 지 1년도 되지 않아 박정희와 일부 군인들이 혼란스러운 97 시 민 헌 전 시
명 위 주 청
사회를 안정시킨다는 명분으로 군대를 동원하여 정권을 잡았다(5·16 주 원 피 인
대 의 백 신
처 ◯
군사 정변). 징 학 회 인 만 에 ◯
계 생 복 서 서 ◯
대통령이 된 박정희는 장기 집권을 위해 대통령을 세 번까지 할 수 위 명 쓴 씨
해 운 시 가
있게 헌법을 바꾸었다. 그리고 1972년에는 대통령을 할 수 있는 횟수의 ” 동
대학생들이 유신 헌법 폐지를 주장하는 작가들은 작품을 통해 민주 사회에 대한
제한을 없애고, 대통령 직선제를 간선제로 바꾸는 등의 내용이 담긴 시위에 앞장섰다. 정치인·언론인·종교인 등이 개헌을 요구 열망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하는 서명 운동을 전개하였다.
유신 헌법을 새로 만들었다.
유신 헌법의 1979년, 부산과 마산에서 유신 헌법 폐지와 박정희의 퇴진을 요구
문제점은 무엇인지
유신 헌법으로 달라진 점 이야기해 보세요. 하는 시위가 크게 일어났다. 이러한 가운데 박정희가 부하에게 죽임을
당하는 사건이 일어났고, 박정희 정부의 집권은 막을 내렸다.
6년씩 계속
통일 주체 국민 회의는 대통령 임기 4년에서 6년으로 늘고, 할 수 있겠군 !
유신 헌법에 따라 대통령을 할 수 있는 부산과 마산에서 일어난 유신 반대 시위
만들어졌는데, 사실상 횟수의 제한이 없어졌다.
대통령이 장악하고
있었어.
99.9%의 찬성으로
대통령 대통령은 통일 주체 박정희 당선 !
선출 방법 국민 회의에서 뽑는다.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
이 사람들을
국회 의원 국회 의원의 삼분의 일은 국회 의원으로 일대에서 학생들을 중심으
로 대규모 유신 반대 시위
선출 방법 대통령의 추천을 받아 통일 주체 뽑아 ! 가 일어났다. 박정희 정권
국민 회의에서 뽑는다.
은 군대를 동원해 진압에
나섰지만, 시위는 인근 지
역으로 확산되었다.
18 18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19 19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5·18 민주화 운동의 과정과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수업의 흐름 • 4·19 혁명이 일어난 원인은 무엇인가요?
도입 4 · 19 혁명과 시민들의 노력 떠올리기 – 3·15 부정 선거로 이승만 정부에 대한 학생들과 시
민들의 불만이 폭발하였기 때문입니다.
➊ 5 · 16 군사 정변과 유신 헌법 알아보기
➋ 유신 헌법 반대 투쟁 살펴보기 • 4·19 혁명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➌ 5 · 18 민주화 운동의 원인과 과정 알아보기
– 학생들과 시민들이 재선거를 요구하며 전국적으로
➍ 아 ! 그렇구나 진실을 보도하려고 노력한 기자들
전개 ➎ 5 · 18 민주화 운동의 결과와 의의 파악하기 시위를 벌였습니다.
➏ 아 ! 그렇구나 5 · 18 민주화 운동의 명예 회복과 – 이승만 정부가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였지만, 시
기념
민들의 저항은 계속되었습니다.
➐ 활동해요 5 · 18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장면을
보고 활동하기 • 4·19 혁명의 결과 무엇이 바뀌었나요?
정리 5 · 18 민주화 운동의 과정과 의미 정리하기 – 이승만이 대통령직에서 하야하고, 3·15 부정 선거
는 무효가 되었습니다.
– 재선거를 통해 새로운 정부가 세워졌습니다.
–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136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