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6 - ele_society_6-1_tutor
P. 136
1~2 차시
교과서 16~17 쪽
4·19 혁명 대학교수들까지 나서며 시위가 거세지자 이승만은
혁명 헌법의 범위를 벗어나 이승만 정부가 부정한 방법으로 선거에서 이기자, 학생들과 시민들은 결국 대통령직에서 하야하였고, 3·15 부정 선거는 하야 관직에서 물러남.
국가의 기초나 제도 등이 근본
적으로 바뀌는 것. 3·15 선거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시위를 벌였다. 마산에서는 시위에 무효가 되었다. 이후 재선거가 실시되었고 새로운
참여한 사람들을 경찰이 무력으로 진압하여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정부가 세워졌다.
특히 시위 도중 경찰 때문에 사망한 고등학생 김주열의 시신이 마산 4·19 혁명은 학생들과 시민들이 부정한 정부에 4·19 혁명은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중심이 되어 일어났어.
앞바다에서 발견되면서 시위는 더욱 확산되었다. 맞서 민주주의를 스스로 지켜 낸 사건이었다. 4·19
많은 노동자도 시위에 적극 참여하였지.
1960년 4월 19일, 이승만 정부에 항의하는 학생들과 시민들의 시위 혁명을 계기로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 이 밖에도 대학교수, 노인, 초등학생 등
다양한 사람들이 시위에 동참하였어.
가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이들은 “정부통령 선거 다시 하라.”, “정부는 졌다.
마산 사건을 책임져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고
자 하였다(4·19 혁명).
이승만 정부는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였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이 다치거나 죽었다. 그러나 학생들과 시민들의 저항은 계속해서
이어졌다.
사진으로 보는 4·19 혁명
학생의 피에 보답하라
정부통령 선거 다시 하라
4월 13일, 고 김주열을 추모하는 학생들 4월 19일, 재선거를 요구하는 시위대 4월 25일, 시위에 동참한 대학교수들 4월 26일, 이승만 하야 소식에 환호하는 시민들
4·19 혁명으로 3·15 부정 선거는 무효가 되었다. ( ◯, × )
16 16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17 17
➌ 4·19 혁명의 과정 알아보기 –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입니다.
• 이승만 정부가 부정한 방법으로 선거에서 이기자, 학생들 • 이승만 정부는 시위에 어떻게 대응하였나요?
과 시민들은 어떻게 반응하였나요? – 무력으로 진압하였습니다. 이에 수많은 사람이 다
– 3·15 선거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시위를 벌였습니다. 치거나 죽었습니다.
• 마산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나요? 수업 제안 교과서 16 ~ 17쪽에 4·19 혁명의 사진이 시간의 흐
– 시위에 참여한 사람들을 경찰이 무력으로 진압하여 름 순으로 제시되어 있다. 본문과 사진을 번갈아 보면서 학습하
는 것이 좋다.
희생자가 발생하였습니다.
– 시위 도중 경찰에 의해 사망한 고등학생 김주열의 지도상의 유의점 학생들은 4·19 혁명이 4월 19일에 일어난 시
위만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할 수 있으므로 교사의 설
시신이 마산 앞바다에서 발견되면서 시위가 더욱 확
명이 필요하다.
산되었습니다.
• 4월 19일에 학생들과 시민들이 전국적으로 시위를 벌인 까 ➍ 4·19 혁명의 결과와 의의 파악하기
닭은 무엇인가요? • 학생들과 시민들의 저항이 이어지고 대학교수들까지 시위
– 3·15 부정 선거를 무효로 하고 정부통령 선거를 다 에 나서자 이승만은 결국 어떻게 했나요?
시 할 것을 요구하기 위해서입니다. – 대통령직에서 하야하였습니다.
– 마산에서 있었던 사건을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생 • 3·15 부정 선거는 어떻게 되었나요?
각하였기 때문입니다. – 무효가 되었습니다.
– 오랫동안 쌓여 왔던 이승만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 이후 재선거가 실시되었고, 새로운 정부가 세워졌
불만이 폭발하였기 때문입니다. 습니다.
134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