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ele_society_6-1_tutor
P. 139
전개 운동을 벌였습니다. 1
– 작가들은 작품을 통해 민주 사회에 대한 열망을 표
➊ 5·16 군사 정변과 유신 헌법 알아보기 단원
현하기도 했습니다.
• 4·19 혁명 이후 사람들은 어떤 사회를 기대했을까요?
• 박정희 정부의 집권은 어떻게 막을 내렸나요?
– 민주적인 사회를 기대하였을 것 같습니다.
– 1979년에 부산과 마산에서 유신 헌법 폐지와 박정
• 5·16 군사 정변이란 어떤 사건인가요?
희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크게 일어난 가운데
– 박정희와 일부 군인들이 혼란스러운 사회를 안정시
박정희가 부하에게 죽임을 당하는 사건이 일어났습
킨다는 명분으로 군대를 동원하여 정권을 잡은 사
니다.
건입니다.
• 이후 대통령이 된 박정희는 장기 집권을 위해 무엇을 했
나요? 판서하기
– 대통령을 세 번까지 할 수 있도록 헌법을 바꿨습니다. 1. 5·16 군사 정변
– 1972년에는 대통령에 출마할 수 있는 횟수의 제한 박정희와 일부 군인들이 군대를 동원하여 정권을
을 없애고, 대통령 직선제를 간선제로 바꾸는 등의 잡음.
내용이 담긴 유신 헌법을 새로 만들었습니다. 2. 유신 헌법(1972)
대통령을 할 수 있는 횟수의 제한을 없앰.
• 유신 헌법으로 무엇이 달라졌나요?
대통령 직선제를 간선제로 바꿈.
– 대통령의 임기 제한이 사라졌습니다.
국회 의원 삼분의 일을 대통령의 추천을 받아 통일
–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대통령을 뽑게 되었습니다.
주체 국민 회의에서 뽑음.
– 국회 의원 삼분의 일을 대통령이 추천하여 통일 주체
3. 유신 헌법에 대한 사람들의 저항
국민 회의에서 선출하게 되었습니다.
시위, 서명 운동, 문학 작품 등을 통해 유신 헌법
– 통일 주체 국민 회의는 대통령이 장악하고 있는 조직
에 저항함.
체였습니다. 그러므로 유신 헌법을 통해 박정희의 영 1979년 부산과 마산에서 유신 반대 시위가 일어남.
구 집권이 가능해지고 대통령의 권력이 더욱 강해졌
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교과서 자료
• 유신 헌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교과서 18쪽 용어 유신
유신(維新)은 낡은 제
– 대통령의 권한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도를 고쳐 새롭게 한다
– 유신 헌법을 통해 박정희가 계속 대통령이 될 수 있
는 뜻이다. 그러나 유신
는 길이 열렸습니다.
헌법의 내용은 대통령
지도상의 유의점 유신 헌법의 주요 특징은 대통령이 국회를
의 권한을 대폭 강화하
해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등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삼권
고 국민의 기본권을 제 ▲ 유신 헌법 공포식(1972)
분립이 무력화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삼권 분립은 이 단원을
한하는 것이었다.
배우고 난 뒤에 학습하게 되므로 이 점을 인지하고 수업을 진행
하는 것이 좋다. 교과서 19쪽 그림 개헌 청원 백만 인 서명 운동
개헌 청원 백만 인 서
➋ 유신 헌법 반대 투쟁 살펴보기 명 운동은 재야인사 장
• 학생들과 각계각층의 시민들은 유신 헌법을 반대하며 어 준하의 주도로 이루어
떤 활동을 벌였나요? 진 운동이다. 장준하는
이 일을 계기로 ‘긴급 조
– 대학생들이 유신 헌법 폐지를 주장하는 시위에 앞장
치 1호’ 위반자로 지목 ▲ 장준하
섰습니다.
되어 감옥에 갇혔다.
– 정치인·언론인·종교인 등은 개헌 청원 백만 인 서명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