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7 - ele_society_6-1_tutor
P. 137
• 4·19 혁명에는 누가 참여하였나요? 차시 예고하기 1
–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참여하였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5·18 민주화 운동의 과정과 의미에 대해
단원
– 노동자와 대학교수, 노인, 초등학생 등 다양한 사람 공부하겠습니다.
들이 참여하였습니다.
• 학생들과 시민들은 이승만이 하야하고 3·15 부정 선거가
무효가 되자 어떤 마음이 들었을까요? 판서하기
– 부정한 정부에 맞서 민주주의를 스스로 지켜 낸 것 2. 4·19 혁명의 과정
을 기뻐하였습니다. 4월 19일 전국에서 학생들과 시민들이 민주주의
를 바로 세우기 위해 시위를 벌임.
• 4·19 혁명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이승만 정부가 시위를 폭력으로 진압하여 수많은
– 다양한 주체가 민주주의를 위한 시위에 참여하였다
사람이 다치거나 죽음.
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학생들과 시민들의 저항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대
– 학생들과 시민들의 힘으로 부정한 선거를 무효로 하 학교수들까지 시위에 나섬.
고 새 정부를 세웠다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3. 4·19 혁명의 결과
수업 제안 이승만이 대통령직에서 하야함.
• 다음 사진을 활용하여 4·19 혁명의 주체가 다양하였음을 보여 3·15 부정 선거가 무효가 되고 재선거를 통해 새
줄 수 있다. 로운 정부가 세워짐.
교과서 자료
교과서 16쪽 용어 김주열
김주열은 3·15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시위에 참여
하였다가 실종된 지 약 한 달 만인 4월 11일에 마산
▲ 초등학생들의 시위 ▲ 할머니들의 시위
앞바다에서 눈에 최루탄이 박힌 참혹한 시체로 발견
• 국립 4·19 민주 묘지(mpva.go.kr/419/index.do) 누리집을 활 되었다. 이 사건은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용하여 사이버 참배, 추모의 글 남기기 활동을 할 수 있다.
교과서 16쪽 사진 4월 19일, 재선거를 요구하는 시위대
4월 19일 시위대의 모습이다. 경무대 앞에서 경찰
정리 은 시위대를 향해 총을 발포하였다. 이에 4월 19일
당일에만 123명이 목숨을 잃었다.
학습 내용 정리하기
교과서 17쪽 사진 4월 25일, 시위에 동참한 대학교수들
• 4·19 혁명의 원인, 과정, 결과를 정리해 봅시다.
대학교수들은 학생들의 시위는 정의감에 의한 것
• 4·19 혁명 당시 시민들의 노력을 정리해 봅시다.
이라고 명시하며 대통령을 비롯한 책임자들이 자리
확인해요 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하였다. 대학교수들의 시위로
소강상태에 빠졌던 시위가 다시 불타올랐다.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교과서 17쪽 용어 새로운 정부
• 4·19 혁명으로 3·15 부정 선거는 무효가 되었다. 4·19 혁명으로 세워진 새로운 정부는 장면 내각이
( ◯, × ) 다. 4·19 혁명 이후 내
이승만 정부는 계속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3·15 부 각 책임제 개헌안이 통
정 선거를 저질렀다. ( ◯, × ) 과되어 대통령 윤보선,
4월 19일에 학생들과 시민들은 전국에서 “정부통령 국무총리 장면으로 하
선거 다시 하라.”, “정부는 마산 사건을 책임져라.” 는 제2공화국이 출범하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 ◯, × ) 였다. ▲ 제2공화국 출범 경축식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