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6 - ele_society_6-1_tutor
P. 206
24차시
교과서 78~79 쪽
도움이 필요하면 확인해요
14~27쪽 48쪽
1 민주화 운동과 각 운동에서 주장한 내용을 선으로 이어 보자. 4 다음은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의 하나인 다수결의 원칙에 대한 대화이다. 빈칸에 들어
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1 4·19 혁명 2 5·18 민주화 운동 3 6월 민주 항쟁
수진 :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협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때는 다수결의 원칙을
따르면 돼.
찬형 : 그런데,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니까
가 나 다
56쪽
5 다음 헌법 조항으로 알 수 있는 민주 정치의 원리를 써 보자. ( )
29~31쪽
2 다음은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맞으면 표, 틀리면 × 표를
해 보자. 제1조 제2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1 대통령 직선제가 시행되어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뽑게 되었다. ( )
2 지방 자치제의 실시로 지역의 대표를 정부에서 임명하게 되었다. ( ) 73쪽
6 각 국가 기관에서 하는 일을 찾아 선으로 이어 보자.
3 여러 분야에서 시민 단체가 결성되어 활발한 활동을 벌여 나갔다. ( )
1 2 3
43쪽
3 다음 중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태도로 바람직하지 않은 친구의 이름을 써 보자.
( )
국회 정부 법원
윤미 찬영 지민 지훈
나의 생각이 틀릴 수도 난 처음부터 이 결정이 나와 생각이 다를 때는
친구의 의견이나 주장을
잘 듣고 옳고 그름을 있기 때문에 다른 의견을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기 서로의 입장을 확인하고 가 법에 따라 재판을 나 법에 따라 나라 살림 다 국가를 다스리는 법
따져 볼 거야. 인정하고 포용할 수 때문에 이 결정에 양보와 타협을 할 한다. 을 한다. 을 만든다.
있어야 해. 따르지 않을 거야. 필요가 있어.
78 78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딩동댕 단원 마무리 79 79
차시 안내 해설
1 4·19 혁명은 3·15 부정 선거의 무효를 주장하며 일
수업 목표 및 안내 어났습니다. 5·18 민주화 운동에서는 전두환의 퇴진
이 차시는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단원을 마무리하면서 을 주장하였고, 6월 민주 항쟁에서는 대통령 직선제
주요 개념 문제로 배운 내용을 정리하도록 구성하였다. 시행을 주장하였습니다.
지도상의 유의점 2 6월 민주 항쟁 이후 대통령 직선제가 시행되었습니
정답을 맞히는 일에 지나치게 집중하지 않고 배운 내 다. 1990년대 이후 지방 자치제가 실시되어 지역의
용을 가볍게 정리하도록 안내한다. 대표를 국민이 직접 뽑게 되었고, 여러 분야에서 시
민 단체가 결성되어 활발한 활동을 하였습니다.
3 함께 결정한 사항은 지키고 실천하는 태도가 필요합
니다.
4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므로 소수의 의견
정답 및 예시 답안 도 존중해야 합니다.
5 우리나라 헌법 제1조 제2항은 국민 주권을 명시하고
1 ①–㉯, ②–㉰, ③–㉮ 2 ① , ② ×, ③ 있습니다.
3 지민 4 소수의 의견도 존중해야 해.
6 국회는 국가를 다스리는 법을 만들고, 정부는 법에
5 국민 주권
따라 나라 살림을 하고, 법원은 법에 따라 재판을 합
6 ①–㉰, ②–㉯, ③–㉮
니다.
204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