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4 - ele_society_6-1_tutor
P. 204

21 차시                                            범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예외적으로 중대한 잘못이
                                                             발견되었을 때 확정 판결의 효력을 배제하고 재판의 오
              법원의 조직도
                                                             류를 바로잡는 법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가
                          대법원                                재심(再審) 제도이다.



                  고등 법원          특허 법원                         심급 제도

                                                               의미: 심급 제도는 재판의 공정성을 위한 제도로, 당사
             지방 법원       행정 법원        가정 법원
                                                              자가 재판 결과에 불복할 경우 급이 다른 법원으로 하
              지원                        지원                    여금 몇 차례 다시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재판 결과에 불복해 상급 법원에 다시 재판을 청구하는
           ▲ 우리나라 법원의 조직도
                                                              것을 ‘상소’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심급 제도는 이러한
             법원은 일정한 서열에 따른 위계적인 조직 체계를 가
                                                              상소가 두 번까지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삼심 제도를
           지고 있다. 대법원은 우리나라의 최고 법원이며, 우리나
                                                              원칙으로 하고 있다.
           라에 단 하나만 존재한다. 대법원 아래에는 고등 법원이
                                                               상소의 명칭
           있고, 이 아래에는 지방 법원이 있다.
                                                             –  항소: 1심 법원의 판결에 불복해 상소하는 것
             한편 우리 생활에서의 다툼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  상고: 2심 법원의 판결에 불복해 상소하는 것
           발생할 때가 많다. 특정한 분야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공정한 판결을 하기 위해서는 그 분야에 전문적인 법 지                         1심 판결       2심 판결        3심 판결
                                                                         항소           상고
           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법원 가운
           데에는 특정한 영역의 업무만 담당하는 가정 법원, 행정                     – 항고: 1심 법원의 결정·명령에 불복해 상소하는 것
           법원 등이 있다. 가정 법원은 관련 법규에 따라 가정과                     –  재항고: 2심 법원의 결정·명령에 불복해 상소하는 것
           가족에 관한 다툼을 전문적으로 해결해 주는 법원이다.                        1심 결정₩명령     2심 결정₩명령     3심 결정₩명령
           행정 법원은 행정 관련 사건을 담당한다. 이 외에도 특허                               항고          재항고

           분쟁을 전담하는 특허 법원이 있다.
             - 박성혁 외, 『교과서 속 법원 세상』, 사법발전재단, 2009, 11쪽 -       법원의 역할
              재판의 일반 원칙                                       법원의 역할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
                                                             째로 법원은 국민의 권익을 보호한다. 억울한 일을 당했
              공개 재판주의: 재판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판을
                                                             거나 개인이나 국가로부터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법원
            심리하고 판결을 내리는 과정을 모두에게 공개해야 한
                                                             이 나서서 국민의 권익을 대신 보호해 준다.
            다. 예외적으로 국가 안전 보장 또는 안녕과 질서를 방
                                                              두 번째로 법원은 사회 질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범
            해하거나 선량한 풍속을 해칠 염려가 있을 때에는 법원
                                                             죄자를 격리하고 형벌을 부과함으로써 사회를 더욱 안
            의 결정에 따라 심리를 공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정적이고 질서 있게 유지한다.
              증거 재판주의: 증거에 따라 사실의 인정을 해야 한다
                                                              세 번째로 법원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혹은 집
            는 것을 의미한다. 이 원칙은 형사 재판에서 특히 강조
                                                             단 간의 갈등과 분쟁을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서로 간
            된다. 형사 재판에서 피고인의 자백이 유일한 증거라면
                                                             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서 다툼이 발생하고, 이 때문에
            자백만으로는 판결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서로에게 매우 큰 피해가 돌아갈 수 있는 상황에서 법원
              재심 제도                                          은 중재자로서 그리고 심판자로서의 책임을 다함으로써

             대법원의 재판이 확정되면 더는 옳고 그름을 다툴 수                    분쟁을 원만하게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없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신중하게 재판을 해도 오류를                     - 박성혁 외, 『교과서 속 법원 세상』, 사법발전재단, 2009, 9쪽 -


           202    각론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