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ele_society_6-2_tutor
P. 21
• ‘심상 지도 그리기’의 경우 고장의 모습을 기성의 지도 형식으로 정확하게 그리기보다
는 고장에 대해 떠오르는 생각들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 ‘장소감 나누기’에서는 사람마다 장소에 대한 기억과 느낌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알도
록 하면서도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지형지물의 위치나 종류에도 관심을 갖도록 유도
한다.
• ‘지형지물의 위치 파악하기’에서는 인터넷 영상 지도의 축소 및 확대 기능을 활용하여
고장 모습을 다양한 규모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고장 내 주요 지형지물의
위치와 고장의 실제 모습을 전체적으로 살펴본다.
• ‘고장의 실제 모습 정리하기’와 관련하여 고장의 백지도에 ‘주요 지형지물을 재배치하
기’에서는 교사가 제작한 약도 형식의 백지도를 활용할 수 있다.
• 교수·학습 과정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고, 고장에 대한 애향심과 함께 서로 다른 생각
을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여러 심상 지도를 제시하여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표를 완성하거나 문
장 형식으로 진술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관찰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한다.
• 고장 백지도에 주요 지형지물을 배치하거나, 고장의 지도나 영상 정보에서 주요 지형
지물을 식별해 내게 하는 수행 평가 방식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공간 인지 능력을 평
가한다.
② 유의 사항
• 심상 지도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할 때는 색채나 형태의
표현 등 예술적 기량보다는 사물의 입지, 경관, 배열 파악 등 공간 인지 능력에 중점
을 둔다.
• 고장의 실제 공간적 특성에 대한 인지 정도를 평가할 때에는 사물의 크기, 사물 간 거
리와 같은 기하학적 특성보다는 방향을 포함하여 학습자가 제시한 사물 간 위치 관계
정보의 정확도에 중점을 둔다.
• 학습이나 평가 활동을 위한 공간적 범위는 학교의 입지 환경에 따라 교사가 적절히
설정한다.
<우리가 알아보는 고장 이야기>
[4사 01- 03] 고장과 관련된 옛이야기를 통하여 고장의 역사적인 유래와 특징을 설명한다.
[4사 01- 04] 고장에 전해 내려오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살펴보고 고장에 대한 자긍심을
기른다.
(가) 학습 요소
• 고장의 역사적 유래와 특징, 고장의 문화유산
1.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