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ele_society_6-2_tutor
P. 26
• [4사 02- 04]에서는 옛날의 세시 풍속을 조사하고 오늘날의 세시 풍속과 비교하여 공
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그 변화상을 파악하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학교와 고장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박물관 또는 민속촌과 같이 옛사람들의 생활을 재
현한 공간이나 장소 등을 견학하는 현장 학습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파악할
수 있고, 사진과 동영상 등의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 옛사람들의 모습을 재현해 놓은 그림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활 도구와 주거 형태, 생
활 모습 등을 파악할 수 있다.
• 옛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잘 드러나는 사진, 동영상, 옛사람들이 사용했던 생활 도구
모형 등의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여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오늘날의 생활 모습
과 비교하여 상상할 수 있도록 한다.
• 옛사람들이 사용했던 생활 도구를 만들어 보는 문화유산 모형 제작 활동과 생활 도구들
을 직접 사용해 보는 활동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옛사람들의 생활 도구와 주거 형태를 오늘날과 비교하여 불편했다거나 좋지 않다 등
과 같이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당시 사람들이 왜 그런 도구와 주거를 만들어 사
용하게 되었는지를 이해하도록 한다.
• 학생들이 직접 경험했던 세시 풍속을 중심으로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낸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도구와 주거 형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는 능력을 서술
형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문화유산 모형 제작 활동 및 주거 형태에 대한 조사 활동
과정(준비도, 참여도, 완성도 등)을 평가할 수 있다.
② 유의 사항
• 서술형 평가 문항은 단순 사실에 대한 지식을 평가하기보다는 생활 도구와 주거 형태
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 사고를 촉진하는 질문으로 구성한다.
<가족의 모습과 역할 변화>
[4사 02- 05] 옛날과 오늘날의 혼인 풍습과 가족 구성을 비교하고, 시대별 가족의 모습과 가
족 구성원의 역할 변화를 탐색한다.
[4사 02- 06] 현대의 여러 가지 가족 형태를 조사하여 가족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가) 학습 요소
• 옛날과 오늘날의 혼인 풍습, 옛날과 오늘날의 가족 구성, 현대의 다양한 가족 형태,
가족 구성원의 역할
24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