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ele_society_6-2_tutor
P. 25
• 여러 시각 및 공간 자료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해석하는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기초적
인 수준의 도해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 고장의 지리적 특성을 탐색하는 활동에서는 자연적 조건이나 인문적 조건이 고장 사
람들의 생활 모습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초보적인 수준에
서 관계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 데에도 유의한다. 이 경우 환경결정론적 사고를 갖지
않도록 유의한다.
• 우리 고장과 다른 고장의 생활 모습을 비교하는 학습 활동의 경우 ‘다른 고장’의 사례
를 탄력적 환경 확대법에 따라 세계적 범위에서도 선정할 수 있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고장의 지리적 특성에 관한 이해도를 평가할 경우에 글, 그래프, 그림, 음악 등 다양
한 형식으로 고장의 특성을 표현하도록 안내한다.
• 환경에 따른 생활 모습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할 경우에 사진 자료나 텍스트
혹은 그래픽 자료를 제시하여 비교 설명하도록 하는 서술형 평가를 구안할 수 있다.
② 유의 사항
• 단편적인 사실 지식의 습득 여부나 열거 능력보다는 자료의 비교 분석이나 관계적 사
고 능력을 평가하는 데 주안점을 두도록 유의한다.
• 텍스트 자료보다는 공간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지도나 사진 등 시각적 자료를 활용
하여 평가할 수 있다.
<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
[4사 02- 03] 옛사람들의 생활 도구나 주거 형태를 알아보고,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
여 그 변화상을 탐색한다.
[4사 02- 04] 옛날의 세시 풍속을 알아보고, 오늘날의 변화상을 탐색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을 분석한다.
(가) 학습 요소
• 옛사람들의 생활 도구와 주거 형태, 생활 모습의 변화, 옛날과 오늘날의 세시 풍속
(나) 성취 기준 해설
• 이 단원은 생활 도구와 주거 형태 및 세시 풍속을 중심으로 옛날과 오늘날의 고장 사
람들의 생활 모습을 탐색하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
을 파악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 [4사 02- 03]에서는 생활 도구(농경 도구, 조리 도구, 의복을 만드는 도구 등)나 주거
형태(동굴, 움집, 초가집, 기와집, 아파트 등)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파악하도록
한다.
1.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