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ele_society_6-2_tutor
P. 24
(2)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이 단원은 환경 및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고장의 생활 모습, 가족의 구성 및 역할 변화
에 대한 탐구를 통해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서로 다르고 변화하고 있음을 이해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이를 위해 고장 간 의식주 생활 모습을 비교하여 환경의 차이에 따른
생활 모습의 다양성을 탐구하고, 옛사람들이 사용한 생활 도구와 세시 풍속을 조사하여
시대에 따라 다른 생활 모습과 변화상을 파악하며, 옛날과 오늘날의 혼인 풍습과 가족 형
태를 비교하여 가족의 변화 모습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 변화를 탐구한다.
<환경에 따라 다른 삶의 모습>
[4사 02- 01] 우리 고장의 지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것이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에 미치
는 영향을 탐구한다.
[4사 02- 02] 우리 고장과 다른 고장 사람들의 의식주 생활 모습을 비교하여, 환경의 차이에
따른 생활 모습의 다양성을 탐구한다.
(가) 학습 요소
• 고장의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 고장의 환경과 생활 간 관계, 환경에 따른 생활 모습의
다양성
(나) 성취 기준 해설
• 이 단원은 고장마다 서로 다른 생활 모습의 차이, 고장의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과 생
활 모습 간의 관계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환경에 따른 인간 생활의 다양성을 탐구하
는 데 주안점을 둔다.
• [4사 02- 01]에서는 고장의 여러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에 대한 조사를 통해 고장의 지
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것이 주민의 생산 및 여가 활동 등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탐
구하도록 한다.
• [4사 02- 02]에서는 의식주 생활 문화를 소재로 우리 고장과 다른 고장의 생활 모습에
서 나타나는 특징을 비교하여 환경에 따른 생활 모습의 다양성을 탐구하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고장의 환경과 생활 간 관계’를 학습할 때는, 먼저 고장의 특징적인 자연환경이나 인
문환경을 조사하도록 한 후에 이것이 여가 및 생산 활동 등 고장 사람들의 생활과 어
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방식으로 전개할 수 있다. ‘환경에 따른 생활 양식의 다
양성’을 학습할 때는, 우리 고장과 다른 고장의 음식, 복식, 가옥의 사례를 수집하여
두 고장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 계절별 전형적인 일기 예보 영상, 계절 변화에 따른 일상 경험이나 사진 자료, 다큐멘
터리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이미지 자료 등 주제에 부합하는 시각 자료를 활용한다. 고
장 안내 책자나 누리집 자료를 활용하거나 고장의 환경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답사 활
동을 할 수 있다.
22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