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ele_society_6-2_tutor
P. 22
(나) 성취 기준 해설
• 이 단원은 학생들이 생활하는 공간인 고장과 관련된 옛이야기와 문화유산의 역사적
가치 등을 인식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 [4사 01- 03]에서는 고장에 전해 내려오는 민담, 전설, 지명에 얽힌 이야기 등을 조사
하여 고장의 역사적인 유래와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친밀감을 가지도록
한다.
• [4사 01- 04]에서는 고장의 대표적인 유·무형의 문화유산과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여
문화유산의 특징과 가치를 파악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자긍심을 함양하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고장의 옛이야기와 관련된 동영상, 사진, 이야기책 등을 수업 자료로 활용하거나 전
문 자원 인사를 초빙하여 강연을 듣게 함으로써 고장의 역사적인 유래와 특징을 이해
하고, 고장에 대한 관심과 자부심을 갖도록 안내한다.
• 고장의 역사적 유래와 특징 및 고장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에 대한 조사 학습을 실시할
수 있으며, 조사 학습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인터넷 검색하기, 시청·군청·구청 누리
집 방문하기, 박물관 답사하기, 문화원 견학하기, 고장 안내도에서 문화유산의 위치
찾기 등)을 학생들에게 사전에 안내할 필요가 있다.
• 자료 수집 방법을 참고하여 고장의 옛이야기, 문화유산 등의 자료를 조사하고, 조사한
내용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정리하고 발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교사가 엄선한 자료
도 함께 제공하여 이를 활용해 정리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와 활동을 돕는다.
• 고장의 문화원이나 박물관을 활용할 경우 사전 학습과 사후 학습을 통해 고장의 다양
한 이야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 고장 답사 활동과 관련된 장소 견학 활동 후 그 결과를 정리하여 공유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고장 답사 활동의 경우 체크리스트법이나 관찰법 등을 활용하여 고장의 옛이야기, 지
명, 문화유산 등에 대한 이해와 활동에 대한 참여도 등을 평가한다.
• 조사 결과를 개별 또는 모둠별로 발표하도록 하고, 관찰법이나 면접법을 활용하여 고
장의 역사적 유래와 특징, 문화유산의 역사적 가치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② 유의 사항
• 조사 학습 과정을 평가할 경우 활동 단계에서는 조사 내용의 타당성 및 충실성, 조사
활동에 대한 참여도 등을 평가하도록 하며, 정리 단계에서는 조사 결과 정리 및 발표
의 체계성 등을 평가하도록 한다.
• 문화유산의 이름과 같은 단순 사실을 측정하기보다는 고장의 옛이야기, 문화유산 속
에 담긴 역사적 유래와 특징 등을 명확하게 이해하는지를 평가한다.
20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