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ele_society_6-2_tutor
P. 23

<교통과 통신수단의 변화>


                                      [4사  01-  05]   옛날과 오늘날의 교통수단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교통수단의 발달에
                                                 따른 생활 모습의 변화를 설명한다.
                                      [4사  01-  06]   옛날과 오늘날의 통신수단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통신수단의 발달에
                                                 따른 생활 모습의 변화를 설명한다.



                                    (가) 학습 요소
                                    •   교통수단, 교통수단의 발달 과정과 고장 생활의 변화, 통신수단, 통신수단의 발달 과
                                       정과 고장 생활의 변화

                                    (나) 성취 기준 해설

                                    •   이 단원은 교통 및 통신수단의 발달 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교통과 통신수단의
                                       발달이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는 데 주
                                       안점을 둔다.
                                    •   [4사 01- 05]에서는 교통수단의 발달에 따라 나타난 생활 모습의 변화 중 여러 고장에
                                       서 공통적으로 변화된 생활 모습과 우리 고장에서만 주로 변화된 것들을 파악하도록

                                       한다.
                                    •   [4사 01- 06]에서는 통신수단의 발달에 따라 나타난 생활 모습의 변화 중 여러 고장에
                                       서 공통적으로 변화된 생활 모습과 우리 고장에서만 주로 변화된 것들을 파악하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교통 및 통신수단의 발달에 따른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변화를 조사할 경우 옛날
                                       과 오늘날의 사진 자료, 고장의 누리집, 박물관, 면담, 답사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교통수단 및 통신수단의 명칭을 자세하게 제시하기보다는 변화의 방향이나 특징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옛날과 오늘날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변화’에 관한 평가 활동 과제 주제로는
                                       전화기의 변화에 따른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변화, 탈것의 변화에 따른 고장 사람
                                       들의 생활 모습 변화 등이 활용될 수 있다.
                                    •   교통 및 통신수단의 발달에 따른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변화에 대한 이해도

                                       를 평가할 경우 서술형을 비롯하여 보고서법 등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② 유의 사항
                                    •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간략하고 다양한 형태의 평가 과제(책 만들기, 신문 형
                                       태로 만들기 등)를 제시할 수 있다.

                                    •   보고서법을 활용할 경우 개인 또는 모둠별로 평가할 수 있다.


                                                                                         1.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21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