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6 - ele_society_6-2_tutor
P. 286

19   차시                                         한 상황으로 한국 사회 구성에 대한 신념의 전환기적 특

                                                             징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기아 지수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년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 2018, 47쪽 -
             세계 기아 지수는 기아의 정도를 세계적, 지역적, 그
           리고 국가별로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추적하기 위해 설
           계된 지수이다. 세계 기아 지수는 100점부터 0점까지의                        ~
                                                              20 21 차시
           점수에 따라 5개 단계로 기아의 심각성을 구분한다. 낮

           음-보통-심각-위험-극히 위험의 단계로 국가별 기아                        지속 가능한 생산과 소비
           수준을 단계별로 구분할 수 있다.                                 지속 가능한 생산과 소비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지속
             전 세계에서 사하라 남쪽의 아프리카와 남부 아시아                     가능한 인프라를 조성하며, 모두에게 더 나은 삶의 질을
           의 기아 지수가 높다. 비록 과거에 비해 기아 지수가 감                   제공한다. 지속 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실천하면 사회적
           소하고 있지만 아직도 ‘심각’ 단계에 해당하는 나라가 많                   비용을 줄이며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으므로 기아를 줄이기 위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지속가능발전포털(ncsd.go.kr) -
                            - 컨선월드와이드(concern.or.kr/ghi) -
                                                               녹색 제품
              국제 사회의 기아 인구 증가
                                                              녹색 제품은 에너지, 자원의 투입과 온실가스 및 오염
             국제연합은 「세계 식량 안보 및 영양 현황」 보고서에서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제품으로서 동일 용도의 다른
           2020년 전 세계 기아 인구가 약 6억 9,000만 명으로 추
                                                             제품 또는 서비스보다 자원 절약에 기여하고, 환경 오염
           정된다고 발표하였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8.9%에 해
                                                             을 줄일 수 있는 제품을 말한다. 녹색 제품 인증 마크에는
           당하며, 1년 만에 천만 명, 5년 만에 거의 6천만 명이 증
                                                             환경 표지 인증, 우수 재활용 인증, 저탄소 제품 인증 등
           가한 수치이다.
                                                             이 있다.
             세계 기아 인구 중 2억 5,000만 명 이상이 아프리카에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 제품 정보 시스템(greenproduct.go.kr) -

           살고 있으며, 아프리카는 어느 지역보다 영양 불량 상태
           인 사람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환경 성적 표지 인증 제도
             국제연합은 국제 분쟁 및 기후 변화, 신종 코로나 바
                                                              환경 성적 표지 인증 제도는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
           이러스 감염증에 의한 실업자 증가 등을 기아 인구 증가
                                                             취, 생산, 수송, 유통,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 대한 환
           의 원인으로 꼽았다.
                                                             경 영향을 계량적으로 표시하여 소비자에게 환경 영향
                -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외, 『세계 식량 안보 및 영양 현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잠재적으로 시장 주도의 지속적인
                                              2020, 16쪽 -
                                                             환경 개선을 유도하는 자발적 인증 제도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                                  도안                  영향 범주

             우리나라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 조사 결과, 일반 국민
                                                                        자원 발자국(Resource Footprint)

           의 다문화 수용성은 52.81점으로 2015년보다 1.1점 하                           -  광물 및 화석 연료 등의 개발 및 소비로 인한 전
                                                                         지구적 영향
           락한 수준으로 2015년 조사에서는 2012년보다 다문화
           수용성이 상승하였던 것과는 대비되는 결과가 나타났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

           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와 동시에 단일 민족 지향성에                               -  대기로 방출된 이산화 탄소 등 온실가스 물질이
                                                                         지구의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 동의 수준도 2015년보다 하락하였다는 것이다. 이
           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단일 민족 사회의 한계                                오존층 영향(Ozone Depletion)

           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은 분명해지고 있으나 다문화                                -  대기 중으로 배출된 프레온 가스 등 오존층 파괴
                                                                         물질이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층에 미치는 영향
           사회에 대한 신념과 인식은 아직 견고하게 자리 잡지 못


           284    각론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