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3 - ele_society_6-2_tutor
P. 283

수업 참고 자료



                  16   차시                                         되어 강우량이 감소하면서 더욱 빠른 속도로 사막화가

                                                                  진행된다.                                            2
                    대기 오염
                                                                                         - 환경부 용어 사전(me.go.kr) -   단원
                   대기 오염은 인위적 발생원에서 배출된 오염 물질이                       지구 온난화
                 대기의 자정 능력의 범위를 벗어날 만큼 다량으로 대기
                                                                    지구 온난화는 인간의 활동으로 배출되는 이산화 탄소,
                 중에 존재하는 상태이다. 오염 물질은 미세 먼지, 이산
                                                                  메테인, 아산화 질소 등 온실가스가 대기에 잔류하면서
                 화 탄소, 황사, 오존, 라돈, 질소 산화물, 황산화물 등이
                                                                  일으키는 온실 효과로 대류권의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이
                 있으며, 주요 대기 오염원으로는 공장 등 산업 시설과 자
                                                                  다. IPCC(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는 2021년
                 동차에서 나오는 매연이 있다. 도시화, 산업화로 대기
                                                                  IPCC  6차  보고서에서  지구  온난화로  산업화  이전
                 오염은 더욱 광역화되고 심각해지고 있다.
                                                                  (1850~1900년)보다 2011~2020년 지구의 평균 기온이
                                        - 환경부 용어 사전(me.go.kr) -
                                                                  1.09℃ 상승했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향후 20년 안에 지
                                                                  구의 평균 기온이 19세기 말보다 1.5℃ 이상 상승할 수
                    열대림 파괴
                                                                  있다고 전망하였다. 2013년에 발표된 IPCC 5차 보고서
                   열대림이란 적도 주변의 저위도 지대에 발달한 삼림
                                                                  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 기온이 1℃ 상승하면 전 세계 30
                 을 말한다. 열대림이 분포하는 지역은 아마존강 유역,
                                                                  만 명 이상의 인구가 말라리아 등 기후 관련 질병으로 사
                 콩고 분지 일대, 보르네오섬 등지이다. 지구상에서 식생
                                                                  망하고, 생물종의 10%가 멸종하며 산호의 80%에 백화
                 의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열대림 지역에는 키가 큰
                                                                  현상이 나타난다. 지구의 평균 기온이 2℃ 상승하면 열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열대림에는 다양한 생물
                                                                  대 지역 농작물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며, 해마다 해안
                 종이 살고 있다.
                                                                  지역의 주민 1,000만 명이 홍수 피해를 겪는다.
                   현재 열대림은 급속도로 파괴되고 있다. 하루에 축구
                                                                                         - 환경부 용어 사전(me.go.kr) -
                 장 7만 2,000여 개에 해당하는 면적이 파괴되고 있다.
                                                                     해양 쓰레기 문제
                 지구상에 분포하는 열대림은 이미 절반 정도가 사라진
                                                                    해양 쓰레기는 바다 표면과 바닷속에 존재하는 쓰레
                 상태이며, 현재의 속도로 파괴되면 수십 년 사이에 지구
                                                                  기이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버린 쓰레기가 해류를 따라
                 의 열대림이 모두 사라질지도 모른다. 열대림이 파괴되
                                                                  이동하면서 거대한 쓰레기 섬을 형성하고 있다. 쓰레기
                 는 이유로는 인구 증가와 그에 따른 경제 개발, 가축의
                                                                  섬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분해가 되지 않는 플라스틱이
                 방목, 연료 채취, 이동식 경작 등이 있다. 아마존강 유역
                                                                  나 비닐로 구성되어 있어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에서는 주로 목초지 조성과 소 사육, 농경지 확보 등의
                                                                    북태평양에 있는 하와이섬과 미국 캘리포니아 사이에
                 이유로 열대림을 파괴하고 있다. 이 밖에 도로를 만들거
                                                                  는 우리나라 면적의 15배가 넘는 거대한 쓰레기 섬이 있
                 나 도시를 건설하고, 광물 자원을 채굴하는 과정에서도
                                                                  다. 20여 년 전부터 서서히 커지기 시작한 이 섬은 태평
                 열대림이 파괴된다.
                                                                  양의 4대 해류가 모이는 곳으로, 미국과 일본 등 태평양
                   - 전국지리교사연합회, 『살아 있는 지리 교과서 2』, 휴머니스트 2011,
                                                     111~112쪽 -   연안의 나라에서 버린 플라스틱들이 해류를 따라 떠다
                                                                  니다가 이곳에 모여 세계 최대의 쓰레기 섬을 이루었다.
                    사막화
                                                                  이 쓰레기의 80%는 육지에서, 20%는 배에서 버린 플
                   사막화란 가뭄, 건조화 등 자연적 요인과 관개, 산림                  라스틱 용기들이 대부분이다. 이 플라스틱을 먹이로 알

                 벌채, 환경 오염 등 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 먹은 새들이 죽는 경우가 점점 많아져서 심각한 문제
                 사막 주변의 토지가 사막처럼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가 되고 있다.
                   사막화가 시작되면 지표 반사율이 증가하고, 냉각화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의 과학 향기 제2394호, 2015. 5. 20. -


                                                                                                         281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