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4 - ele_society_6-2_tutor
P. 284

백화 현상                                                0   50 km

             백화 현상은 바닷물에 녹아 있는 탄산 칼슘(석회 가루)                                            대암산 용늪     울릉도
           이 해저 생물이나 해저의 바위 등에 하얗게 달라붙는 것                                                  오대산 습지
                                                                강화 매화마름 군락지     한강 밤섬              독도
           을 말한다. 지구 온난화로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송도 갯벌          영월 한반도 습지
                                                                      대부도 갯벌                      동 해
           탄산 칼슘을 갖고 있는 산호말 등 홍조류가 증가해 백화
                                                                    두웅 습지
           현상이 심해지면서 기존의 해조류는 죽어 가고 해저가
                                                                   황 해
           불모지로 변하고 있다. 육지의 오염 물질 유입도 백화 현                             서천 갯벌
           상의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 갯녹음 또는 바다 사막                           고창₩부안 갯벌
                                                                    고창 운곡 습지           우포늪
           화라고도 한다.                                                   무안 갯벌     순천 동천 하구   무제치늪
                                                                    중도 갯벌
                                  - 환경부 용어 사전(me.go.kr) -
                                                                                순천만₩보성 갯벌
                                                                 신안 장도 산지 습지
                                                                                       남 해
              미세 플라스틱
                                                                            제주 동백동산 습지
                                                                   제주 숨은물뱅듸
             미세 플라스틱은 1 mm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으로 너                       이어도종합        제주 물장오리 오름
                                                                해양과학기지  제주 1100고지 제주 물영아리 오름
           무 작아 하수 처리 시설에 걸러지지 않고 바다와 강으로                                                [출처: 환경교육포털, 2020]
           그대로 유입된다. 치약, 연마제, 각질 제거 세정제 등에                   ▲ 우리나라 람사르 협약 등록 습지 분포도
           들어 있는 1차 미세 플라스틱이 있고, 물속에 버려진 플                                      - 환경부, 『환경 백서』, 2020, 34쪽 -
           라스틱이 시간이 지나면서 작게 분해된 2차 미세 플라스
           틱이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경 마크 제도
           등의 물질로 만들어지는데, 이들 물질은 환경과 주위의
                                                              환경 마크 제도는 환경 오염을 적게 유발하는 상품에
           바닷물 중에 존재하는 합성 유기 화합물을 표면에 흡착
                                                             부착하는 마크로 ‘E 마크’, ‘Eco 마크’라고도 한다. 생산
           해 운반하여 독성을 가중한다. 미세 플라스틱은 해양 생
                                                             과 소비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오염을 적게 일으키거나
           태계를 교란할 뿐 아니라, 먹이 사슬을 따라 해양 생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에 환경 마크를 표시하여 소
           의 몸에 축적되어 인간에게까지 도달할 수 있어 그 폐해
                                                             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정확한 환경 정보를 제공한다.
           가 우려되고 있다.
                                                             또한 기업에는 소비자의 선호에 부응해 친환경적인 제
                      - 환경부 공식 블로그(blog.naver.com/mesns) -
                                                             품을 개발·생산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지속 가능한 생산
                                                             과 소비 생활을 이루고자 마련되었다.
            17 18      차시                                     독일은 ‘푸른 천사’라는 환경 마크 제도를 1977년부터
                ~
                                                             운영하고 있다. 일본은 1989년에 ‘에코 마크’를 도입하
              람사르 협약
                                                             였으며, 이 밖에 유럽연합의 ‘에코 라벨’, 캐나다의 ‘환경
             람사르 협약은 중요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선택’, 미국의 ‘그린 실’, 싱가포르의 ‘그린 라벨’ 등이 있
           국제 환경 협약이다. 전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다.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부터 친환경 마크 제도를 시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지방, 지역 및 국가적 활동과 국                   행하고 있다.
           제적 협조로 모든 습지를 보전하고 현명하게 이용하고
           자 체결되었다.
             2019년 12월 기준 171개 국가들이 당사국으로 협약
           에 가입되어 있으며, 전 세계에 걸쳐 2억 5,384만ha가
                                                             ▲ 미국의 그린 실        ▲ 싱가포르의         ▲  우리나라의
           넘는 면적의 2,388개 습지들이 람사르 협약의 목록으로                                        그린 라벨            친환경 마크
           지정되어 있다.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 표지(el.keiti.re.kr) -


           282    각론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