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ele_society_6-2_tutor
P. 32
• 보고서법을 활용하여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 주민들의 참여 방법 및 공공 기관
의 역할에 대해 조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 면접법을 활용하여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의식 및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② 유의 사항
• 프로젝트법이나 보고서법을 활용할 때에는 내용의 충실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 평가
한다. 이때 지역 문제의 원인 파악이 제대로 잘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문제 해결 방안
이 문제의 원인과 제대로 연계되어 있는지를 유의한다.
• 서술형 평가를 실시할 때에는 다양한 공공 기관의 종류와 그 기관들의 역할을 실제
사례와 관련지어 생각해 보고 서술할 수 있도록 문항을 구성한다.
•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 태도를 평가할 때에는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
들 스스로 자신들의 생각을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한다.
(4) 다양한 삶의 모습과 변화
이 단원은 우리의 삶이 정주 공간, 경제활동, 사회 변화 등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
타나고 있음을 인식하고, 이러한 생활 모습의 차이와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
결 방안을 탐구함으로써 삶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설정되었다. 이를
위해 촌락과 도시에서 나타나는 생활 모습의 특징과 이들 사이의 교류 및 상호 관계를 탐
구하고, 생산과 소비 등 경제활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지역들이 물자 교환과 경
제 교류를 통해 맺고 있는 상호 의존 관계를 탐구한다. 아울러 사회 변화로 나타난 일상생
활의 모습과 특징을 조사하고, 다양한 문화가 확산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탐구한다.
<촌락과 도시의 생활 모습>
[4사 04- 01] 촌락과 도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해
결 방안을 탐색한다.
[4사 04- 02] 촌락과 도시 사이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류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상호 의
존 관계를 탐구한다.
(가) 학습 요소
• 촌락과 도시의 공통점과 차이점, 촌락과 도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촌락과 도시의
상호 의존
(나) 성취 기준 해설
• 이 단원은 촌락과 도시의 특성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생활 공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지역 간 상호 협력하는 태도와 다양한 생활 공간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둔다.
• [4사 04- 01]에서는 촌락과 도시의 입지, 기능, 경관 등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
점, 그리고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을 탐색하면서 생활 공간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에 대
30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