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ele_society_6-2_tutor
P. 33
한 관심을 갖도록 한다.
• [4사 04- 02]에서는 촌락과 도시 간 공간적 상호 의존 관계에 대하여 탐구하면서 지역
간 상생과 공존의식을 함양하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촌락과 도시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는 두 지역을 비교하는 학습 방식이 적절할 것이
다. 이 경우 개념 학습 모형의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촌락과 도시가 지니는 여러 속성
을 찾도록 하거나 전형적인 촌락과 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그 특성을 탐색하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 촌락과 도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학습의 경우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두
생활 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 사태를 제시하고, 그 원인과 대안을 탐색하는 절차로
진행할 수 있다.
• 촌락을 학습할 경우 전형적인 농촌, 어촌, 산지촌의 경관이 담긴 사진 자료를, 도시
학습의 경우 전형적인 중심 업무 지구, 상업 지구, 주거 지구의 경관이 담긴 사진 자
료를 활용하거나 여행 경험을 활용한다. 촌락과 도시의 문제점에 관한 통계 자료나
신문 기사 자료도 활용한다.
• 촌락과 도시를 학습할 경우 두 생활 공간을 이분법적으로 분류하는 데 초점을 두기보
다는 생활 양식의 차이를 이해하는 활동에 초점을 둔다. 이때 특정 생활 공간에 대한
부정적 혹은 선망적 인식이 형성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 정주 공간으로서의 ‘도시(urban)’ 개념을 물리적 행정 단위로서의 ‘시(city)’와, 산지를
대상으로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는 ‘산지촌(山地村)’을 집촌의 상대 개념으로서 가옥
밀도가 낮은 ‘산촌(散村)’과 서로 혼동하지 않도록 특히 유의하여 지도한다.
• 촌락과 도시를 구분하는 속성으로서 인구수보다는 생산 활동이나 기능의 차이에 주
목할 필요가 있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촌락과 도시의 기능, 경관 특성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할 때에는 관련 시각·공간 자료
를 제시하고 각 항목별 비교표를 완성하거나 두 지역의 특성을 비교하는 등의 자료
해석형으로 평가한다.
• 촌락과 도시 간 상호 의존 관계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할 때에는 구체적인 삶의 장면
이나 사례를 제시할 수 있도록 구안된 서술형으로 평가한다.
• 촌락과 도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찾는 주제는 프로젝트형 수행 평가를 활용할 수
있다. 프로젝트 주제로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활 공간의 설계, 촌락과 도시의
장점을 절충한 생활 공간의 설계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② 유의 사항
• 촌락과 도시의 경관에 대한 도식적인 비교보다는 기능과 상호 의존 관계에 대한 이해
도를 평가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 체험 학습 프로그램과 통합하여 교수·학습 및 평가 활동을 구안할 수도 있다.
1.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