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8 - ele_math_5-1_tutor
P. 178
3. 평가로 파악하는 학습 정보에 따른 지도 방안 예시
3
평가 과정 중심 평가 내용 학습 정보 지도 방안 예시
• 두 양 사이의 대응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찾아 설명 각 양이 변화하는 규칙을 먼저 탐색하게 한 후, 한 양
선수 학습 확인 관계를 찾아 설명할 하지 못하는 경우 이 변할 때 다른 양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살펴보고
수 있는가? 대응 관계를 스스로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 밧줄 수와 매듭 수 밧줄 수와 매듭 수 사이의 대응 관계 다양한 대응 관계 사례를 제안하며 대응 관계를 찾아
사이의 대응 관계를 를 찾아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 식으로 나타내게 한다.
찾아 식으로 나타낼
밧줄 수와 매듭 수 사이의 대응 관계 (밧줄 수)-1=(매듭 수)와 같은 표현에서 밧줄 수와
수 있는가?
를 찾았으나 식으로 나타내지 못하 매듭 수를 의미하기로 약속한 기호로 나타내는 것을
평가 1 는 경우 직접 보여 준다.
밧줄 수와 매듭 수 사이의 대응 관계 밧줄 수와 매듭 수를 나타낸 그림을 관찰하며 대응
를 찾지 못하는 경우 관계 표를 완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지도하고, 밧줄
수에 따라 매듭 수가 어떻게 변하는지와 같은 구체
적인 질문을 통해 대응 관계를 찾도록 지도한다.
• 지우개 수와 지우갯 지우개 수와 지우갯값 사이의 대응 지우개 수와 지우갯값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양한 식
값 사이의 대응 관 관계를 서로 다른 기호를 사용하여 으로 표현하게 한다.
계를 서로 다른 기 나타낸 식을 잘 비교하는 경우
호를 사용하여 나타
낸 식을 비교할 수 서로 다른 기호를 사용한 대응 관계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에서 각 기호와 연결된 것이
를 나타낸 식이 같은 의미를 가지고 무엇을 의미하는지 비교해 보게 한다. 구체적인 수를
있는가?
있다는 것은 알지만, 대응 관계를 직접 대입하여 두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이 같은 대응
평가 2
서로 다른 기호를 사용하여 식으로 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게 한다.
표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서로 다른 기호를 사용하여 대응 관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식을 표현할 때 기호를 사용
계 식을 표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지 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게 하고, 사용한 기호가 무엇을
못하는 경우 의미하는지 비교해 보게 한다.
• 지우갯값을 알 때, 지우개 수와 지우갯값 사이의 대응 지우개 수에 관한 정보를 주고 지우갯값을 알아보도록
지우개 수를 구할 관계를 알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다.
수 있는가? 경우
지우개 수와 지우갯값 사이의 대응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고, 지우갯값을 해당 기호
관계를 알지만, 특정 값에 대한 지우 에 넣어 식을 관찰하게 한다. 나머지 기호가 의미하는
평가 3
개 수를 구하는 방법을 몰라 문제를 바가 무엇인지 질문하고 식의 계산에 따라 지우개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 수를 구해 보게 한다.
지우개 수와 지우갯값 사이의 대응 지우개 1개와 지우개 1개의 값을 짝 지어 지우개 수가
관계를 알지 못해 문제를 해결하지 늘어날수록 지우갯값이 어떻게 늘어나는지 알게 한다.
못하는 경우
176 수학 5-1 지도서
20개정_초등_지도서[513](169~202)_수정본-3교.indd 176 2022. 4. 27. 오후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