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1 - ele_math_6-1_teacher
P. 131

수업 전 확인 문제                                                              수업 일자            숙제
                       1. 넓이가 더 넓은 것의 기호를 써 보세요.



                                о       ա



                                             답 가
 『수학 익힘』  76~77쪽
 2  직육면체의 부피 를                    단위를 사용하여 부피 비교하기                                                   6       과정 중심 평가 방안


 비교해요

                                                                 가               나    추론 | 의사소통
                                       가 상자, 나 상자의
                                         부피와 똑같게
 세 상자의 부피를 비교해 보려고 해요.                 지우개를 쌓았어요.
 어떻게 비교할 수 있을까요?

                                   1  가에 쌓은 지우개는 모두 몇 개인가요? 9개                                             Tip
                                                                                                          부피를 재는 단위로 사용되
 입체도형이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기 위해서 각각의 크기와 모
 부피라고 해요.
                                                                                                          양이 같아야 한다. 또한 단위
                                   2  나에 쌓은 지우개는 모두 몇 개인가요? 8개
                                                                                                          사이의 빈틈이나 공간이 생
                                                                                                          기면 안 되는 조건을 생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가  나  다
                                   3  가와 나 중에서 부피가 더 큰 것은 어느 것인가요? 가



                                   4  부피를 재는 단위로 사용할 수 있는 물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교과 역량
                                                                                                          단위로 부피를 재어 어느 것
                                                                                                          이 더 부피가 큰지 확인하는
                                       쌓기나무를 사용하여                                      구슬도 단위로            과정에서 추론 능력을 기를
                                       부피를 잴 수 있어요.                                  사용할 수 있을까요?          수 있다. 부피를 재는 단위로
                                                                                                          사용할 수 있는 물건에 대해
 상자를 맞대어 부피 비교하기  준비물 15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면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만들어 보세요.



 ● ● 어느 상자의 부피가 가장 작은가요?  다


                                       낱개 모형, 연결큐브, 쌓기나무 등
 ● ● 가 상자와 나 상자의 부피를 맞대어 비교할 수 있나요?
 부피를 맞대어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1     같은 크기의 쌓기나무를 쌓아 만든 두 직육면체의 부피를 비교해 보세요.                                  Tip
                          추론                                                                              문제를 해결하기 전 전체 모
 ● ● 맞대어 비교하기 어려운 상자의 부피를 어떻게 비교하면 좋을지 이야기해    의사소통                                                       양이 직육면체임을 인식하
                                                                                                          고, 각각 몇 개의 쌓기나무가
 보세요.
                                                                                                          있는지 세어 부피를 비교하
  모양과 크기가 같은 물건으로 똑같이 쌓아 개수를 비교합니다.                                                                      도록 지도한다.
                                    각각 쌓기나무 6개, 8개로 쌓았으므로 오른쪽 직육면체의 부피가 쌓기나무
                                     2개만큼 더 큽니다.
 130  수학 6 - 1                                                          6. 직육면체의 겉넓이와 부피 131
                                                                                                             형성 평가



 20개정_초등_수학[616](123~146)_수정본OK.indd   130-131                                                2022. 4. 27.   오후 2:35






            20개정_초등_교사용_수학[616](123~146)_사교.indd   131                                                              2022. 7. 4.   오후 4:58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