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ele_math_6-2_tutor
P. 37

할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능력 또는 특성’으로 설명하였고, 내용적 지식과 대별되는 과정적 지식의
                                       성격이 강하므로 기존의 과정적 지식과 같은 맥락에서 심화되고, 정교화되는 형태로 나타났다.

                                       제7차 교육과정기의 ‘수학적 힘의 신장’,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수학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을 잇는 연장선상에서, 수학적 과정의 하위 요소
                                       인 ‘문제 해결, 추론,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하여 ‘창의·융합,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의 3가지가
                                       추가되는 방식으로 선정된 것이다.

                                       (2) 융합 인재 교육
                                         수학과 교과 역량 선정의 배경에 있는 또 다른 요소가 융합 인재 교육이다. 융합 인재 교육은 과

                                       학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과학 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력과 실생활 문제
                                       해결력을 함양하는 목표로 하는 스팀(STEAM) 교육을 의미한다.


















                                                                                              그림 출처: 한국과학창의재단, 2021.

                                         융합 인재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준거는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학습 내용을 학생 자신의 삶과 관련 있는 실생활 문제로 인식하게 하고 몰입의 동기를
                                       부여하는 ‘상황의 제시’, 학생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활동으로서 ‘창의적 설계’,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흥미와 몰입, 성패의 가치, 도전 의지

                                       등 다양한 경험과 성찰을 강조하는 ‘감성적 체험’, 이 3가지 요소를 통해 융합 인재 교육을 구현하
                                       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과학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인문학적이고 감성적인 측면까지 두루 갖춘
                                       융합적 인재, 창의적 인재, 문제 해결자로서의 인재 등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부합하
                                       므로 향후 추구해야 할 교육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
                                         따라서 융합 인재 교육의 관점에서 수학 교과 역량의 신장은 매우 중요한 교육적 과제이다. 특

                                       히 수학을 다른 분야인 과학, 기술, 공학, 예술과 연계하는 것은 창의·융합 역량의 하위 요소인 수
                                       학 외적 연결성과 관련되며, 실생활 문제의 창의적 해결이라는 점에서 창의·융합뿐만 아니라 수학
                                       적 모델링을 포함한 문제 해결 역량을 함의한다. 또한 감성적 체험을 통한 태도 및 실천의 구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나. 수학 교과 역량의 실제

                                         각각의 교과 역량은 수학과 교육과정 체제 내에서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향 등의 항목마다 의미 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의도되었다. 특히 ‘교수·학습 방법’에
                                       서는 6개의 수학 교과 역량별로 각 역량의 하위 요소를 근거로 하여 각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구체



                                                                                 2.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및 변화   35







            20개정_초등_지도서[620](008~072)-총론앞_수정본OK.indd   35                                                          2022. 4. 28.   오후 12:24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