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0 - ele_science_3-1_tutor
P. 120
3 3 차시 『과학』 12 쪽~14 쪽 『실험 관찰』 16 쪽
추리하고 의사소통하기 추리, 의사소통
관찰 결과, 이전의 경험,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탐구 대상의 보이지
않는 현재 상태를 생각하는 것을 추리라고 합니다. 탐구 대상을 주의 깊게 관찰
하고 정보를 많이 얻을수록 더 정확하게 추리할 수 있습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 마당으로 나온 만세는 깜짝 놀랐습니다. 밤사이
관찰하고 생각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고, 다른 사람과 생각이나 정보를
내린 눈 위에 집에서 기르는 닭과 개의 발자국뿐만 아니라 족제비의
주고받는 것을 의사소통이라고 합니다. 의사소통할 때에는 말, 글, 그림, 기호, 몸짓
발자국도 찍혀 있었기 때문입니다.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동물 발자국을 관찰하며 밤사이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생각해
보고 친구들에게 이야기해 봅시다.
마당에서 일어난 일
족제비이다. 도망치자.
『실험 관찰』 16 쪽 탐구 의사
소통
활 활동 동물 발자국을 보고 있었던 일을 추리하고 의사소통하기
동
살았다.
1 『과학』 12`쪽 ̄13`쪽에 있는 동물 발자국을 보고 마당에서 일어난
일을 생각합니다.
산에 살고 있는 족제비는 겨울이 되자 먹이가 부족했습니다. 먹이를 찾아
2 과정 1 에서 생각한 내용을 이야기로 만들어 발표합니다. 마을까지 내려온 족제비는 닭을 사냥하려고 집 마당에까지 들어왔습니다.
족제비를 보고 놀란 닭이……
일어난 일을 제가 발표
발표를 듣고 어떻게 설명해야 하겠습니다.
족제비 발자국 궁금한 점은 듣는 사람이 쉽게
질문해야겠어. 이해할까?
개 발자국
추리와 의사소통을 잘하려면?
닭 발자국 추리할 때에는 관찰한 사실을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과 연결해야
합니다.
의사소통할 때에는 말하고 싶은 내용을 듣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야 합니다.
12 12 과학 탐구 시작하기 과학 탐구 시작하기 13 13
초등과학3-1__탐구(07~14)OK.indd 12 2022-06-17 오전 11:42:54 초등과학3-1__탐구(07~14)OK.indd 13 2022-06-17 오전 11:43:00
차시 운영 방안
핵심역량 활동
학습 목표 • 과학적 탐구 능력 동물 발자국을 보고 있었던 일을 추리하는
• 추리와 의사소통의 뜻을 설명할 수 있다. 과정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기른다.
•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어난 일을 추리할 수 있다.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추리한 내용을 친구들에게 설명하고, 친
• 추리한 내용을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친구들에게 설 구들과 생각이나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과학적 의사
명할 수 있다. 소통 능력을 기른다.
지도상의 유의점
차시 수업 전개도
• 추리한 내용의 옳고 그름을 언급하지 않고 관찰 결과, 과
도입 동물 발자국을 본 경험 이야기하기 거 경험, 이미 알고 있는 지식 등을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5 분)
추리했는지 살펴보게 한다.
• [활동] 동물 발자국을 보고 있었던 일을 추리하고 의
• 발표할 때에는 발표 내용뿐만 아니라 목소리의 크기, 말
전개 사소통하기
(30 분) 의 빠르기 등 표현 방법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한다.
• 추리와 의사소통의 뜻과 방법 이야기하기
전자저작물 이용
정리 추리와 의사소통 정리하기
(5 분)
수업 자료 학습 지도안, 수업 PPT
멀티미디어 자료 개념 영상
수업 전 확인 사항
학생들이 닭, 개, 족제비에 대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참고 도서
확인한 후, 해당 동물을 잘 모르는 학생들을 위해 관련 영 • 문병두·강성주,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동물 흔적
상이나 책을 준비한다. 도감』, 보리(2016)
118 과학 탐구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