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ele_science_3-1_tutor
P. 121
수업 흐름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말하고 싶은 내용을 듣는 사람이 이해하
도입 기 쉽게 설명하며,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귀 기울여
듣는 태도를 지니게 한다.
동물 발자국을 본 경험 이야기하기
평가기준 예시_관찰 평가(참여도 평가), 발표 평가 과학
• 아침에 마당으로 나온 만세는 왜 놀랐나요? 탐구
- 눈 위에 집에서 기르는 닭과 개의 발자국뿐만 아 방법 요소 평가기준 상 중 하
니라 족제비의 발자국도 찍혀 있었기 때문입니다. 추리하고 의사소통하는 활동에 성실
태도
• 동물 발자국을 본 적이 있나요? 관찰 하게 참여하였는가?
평가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있었던 일을
- 비가 온 뒤 운동장에 찍힌 참새 발자국을 보았습니다. 탐구
추리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가?
- 뉴스에서 멧돼지 발자국을 보았습니다.
추리한 내용을 이야기로 만들어 발표
수업 도우미 수업 도입을 위한 방법 발표 평가
할 수 있는가?
이전에 동물 발자국을 직접 보거나 매체를 통해 본 경험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동물 발자국으로 무엇을 알 수 있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평가 피드백 『실험 관찰』에 제시된 평가 이외에도 필요한 평가 요소에
따라 평가기준을 추가하여 평가할 수 있다.
전개 ➋ 추리와 의사소통의 뜻과 방법 이야기하기
➊ 활동으로 동물 발자국을 보고 있었던 일을 추리하고 • 추리란 무엇일까요?
의사소통하기 - 관찰 결과, 이전의 경험,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탐구 대상의 보이지 않는 현재 상태를
활 동 동물 발자국을 보고 있었던 일을 추리하고 의사소통하기
활동
생각하는 것입니다.
구성 의도 - 탐구 대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정보를 많이 얻을
동물 발자국을 보며 마당에서 일어난 일을 추리하고, 수록 더 정확하게 추리할 수 있습니다.
추리한 내용을 이야기로 만들어 친구들에게 설명하는 활 • 의사소통이란 무엇일까요?
동을 통해 추리와 의사소통 기능을 익힐 수 있게 하였다. - 관찰하고 생각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고,
활동 목표 다른 사람과 생각이나 정보를 주고받는 것입니다.
동물 발자국을 보고 있었던 일을 추리하고 이야기로 - 의사소통할 때에는 말, 글, 그림, 기호, 몸짓 등을
만들어 친구들에게 설명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활동 과정 길잡이 정리
추리와 의사소통 정리하기
1 『과학』 12`쪽 ̄13`쪽에 있는 동물 발자국을 보고 마
당에서 일어난 일을 생각합니다. • 눈 위의 동물 발자국을 관찰하여 알게 된 사실을 과
추리 세 동물의 발자국의 모양, 발자국 사이의 간격, 거의 경험이나 이미 알고 있는 지식과 관련지어 마당
진행 방향 등을 자세히 살펴보며 정보를 수집한다. 과
에서 일어난 일을 생각하는 것은 추리입니다. 추리를
거 경험이나 이미 알고 있는 동물에 대한 지식을 바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탕으로 관찰 결과가 일어난 까닭을 해석하게 한다.
2 과정 1에서 생각한 내용을 이야기로 만들어 발표합니다. - 관찰한 사실을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과 연결해야
의사소통 추리한 내용을 이야기로 만들고 이를 글, 그 합니다.
림, 몸짓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하게 한다. • 추리한 내용을 친구들에게 설명하고, 친구들과 생각
이나 정보를 주고받는 것은 의사소통입니다. 의사소
과학과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법 통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과학적 탐구 능력 과거 경험이나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관찰 - 말하고 싶은 내용을 듣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결과와 연결하여 과학적으로 추리하게 한다. 설명해야 합니다.
과학 탐구 시작하기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