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3 - ele_science_3-1_tutor
P. 123
•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정약전이 한 일을 통해 과학 탐구
과학자
바다에 사는 생물을 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며 일상생활에서 관찰과
관찰하고 분류한 정약전 분류의 가치를 알게 한다.
과학
참고 자료 탐구
옛날에는 바다 생물에 대한 정보가 적어 이름을 모르는 생물이
많았습니다.
정약전(1758 ̄1816)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흑산도에서
➊ 예상과 추리의 비교
바다 생물을 연구했습니다. 여러 책에서 바다 생물을 조사하기도
하고, 직접 물고기, 조개, 게 등을 잡아 관찰하기도 했습니다. 그리
구분 예상 추리
고 관찰한 바다 생물을 그 특징에 따라 기준을 세워 분류하기도 했
습니다. 이렇게 연구한 결과를 정리하여 『자산어보』라는 책을 만들 공통점 관찰한 사실을 바탕으로 생각한다.
었습니다. 이 책은 바다 생물 관련 책으로서 오늘날
비늘이 있는 물고기와 에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바다 생물의 이름, 관찰이나 측정 결과에서 과거 경험이나 이미 알고
비늘이 없는 물고기, 딱딱한
껍데기를 가진 생물, 그 밖의 생김새 등을 아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규칙성이나 경향성을 파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관
바다에 사는 동물과 식물로
분류하면 되겠군. 차이점 악하여 앞으로 일어날 일 찰 결과를 해석하여 탐구
을 구체적으로 미리 생각 대상의 보이지 않는 현재
한다. 상태를 생각한다.
자석의 개수에 따라 철 클 어떤 물체에 자석을 가까
정약전이 쓴 『자산어보』
립이 몇 개 붙는지 실험한 이 가져갔을 때 물체가 자
예 후 자석의 개수를 늘렸을 석에 붙는 것을 관찰한 후
때 철 클립이 몇 개 붙을지 물체에 철이 들어 있을 것
생각한다. 이라고 생각한다.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➋ 관찰과 추리의 비교
정약전이 했던 것처럼 우리 주변에 있는 탐구 대상을 찾아 어떻게 관찰하고 분류할지 생각해 봅시다.
관찰은 감각 기관을 사용하여 탐구 대상의 정보를 얻
14 14 과학 탐구 시작하기
고, 추리는 관찰한 사실을 논리적으로 해석하고 설명한
다. 다음은 관찰을 바탕으로 추리한 내용이다.
초등과학3-1__탐구(07~14)OK.indd 14 2022-06-17 오전 11:43:01
과학자
바다에 사는 생물을 관찰하고 분류한 관찰한 사실 추리한 내용
정약전 태극기가 펄럭인다. 바람이 불고 있을 것이다.
운동장 모래 위에 새 발자국 운동장에 새가 날아왔을 것
활동 방법
이 찍혔다. 이다.
• 정약전이 바다 생물을 연구할 때 어떻게 관찰하고 분류했
전날 비가 왔거나 이슬이 생
을지 생각하며 읽어 보게 한다. 화단에 있는 흙이 젖어 있다. 긴 것이다.
• 누리집이나 책에서 정약전이 실행한 여러 가지 탐구 활동
을 추가로 알아볼 수 있다. ➌ 정약전과 『자산어보』
정약전(1758 ̄1816)은 흑산도에서 해양 생물 226`종
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생물의 이름과 분포, 형태 등을 기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록한 『자산어보』를 저술하였다. 정약전이 해양 생물을
정약전이 했던 것처럼 우리 주변에 있는 탐구 대상을 찾 자세히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오랫동안 흑산도의 해양
아 어떻게 관찰하고 분류할지 생각해 봅시다. 생물을 직접 잡아 관찰하기도 하고 물고기를 해부하기
지도 방향 탐구 대상은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
도 했기 때문이다. 직접 관찰하지 못한 생물은 주변 사
로 정하게 한다.
람들의 도움을 받아 자세히 기록하였고 기존 문헌을 토
예시 답안 학교 화단에 있는 여러 가지 꽃을 대상으로 그 모양과 색
대로 객관성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 해양 생물을 상
깔, 꽃잎 수를 관찰하고 이를 분류 기준으로 정하여 분류합니다.
위 범주와 하위 범주로 나누는 등 객관적인 분류 체계
과학과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법 를 따랐다. 『자산어보』의 내용은 오늘날 과학자들이 밝
• 과학적 문제 해결력 정약전이 했던 것처럼 관찰, 분류 등의 활 힌 사실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 귀중한 자료가 되고
동을 통해 생활 속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지도한다. 있다.
과학 탐구 시작하기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