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ele_science_3-2_tutor
P. 57
6 과학 – 기술 – 사회(STS) 학습 모형
STS란 ‘과학–기술–사회(Science-Technology-Society)’의 줄임 말로, 학교
활동 장소별 지진 대처 안내문 만들기
교육의 맥락에서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계에 관한 교육을 강조하는 교육 사조나 안전 지킴이가 되어 지진이 일어났을 때 장소별로 안전하게 대처하는 문제 해결 소통 의사
안전한 지진 대처 방법
방법을 토의하고, 지진 대처 안내문을 완성해 봅시다.
준비물
교육 운동 또는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을 뜻하는 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진은 갑자기 일어나기 때문에 평소에 지진에 대처하는 방법을
필기도구
알아 두어야 합니다. 지진이 일어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그림을 보며 각 장소에서 지진이 일어났을 때 위험한 점을 생각합니다.
2 모둠원과 각 장소에서 지진에 안전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토의합니다.
3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서 지진 대처 안내문을 완성합니다.
1980`년대 과학, 기술, 사회, 인간의 관계 및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는 4 완성한 안내문의 내용에 따라 지진 대처 방법을 연습합니다.
대형 할인점, 백화점
진열장에서 멀리 떨어져서
인간 중심 교육 사조가 과학 교육에 도입됨에 따라 STS 교육은 과학 교육에 많은 하고, 학교(교실) (으)로 머리를 보호 승강기
근처로 피해요.
아래로 들어가서
지하철, 버스 집 을/를 꼭 붙잡고 몸을 보호해요. 흔들림이 멈추면 질서를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 내리고,
튼튼한 탁자 아래로 을/를 이용하여 이동해요.
넘어지지 않게 들어가서 몸을 보호해요. 지키며 운동장으로 대피해요. ! 지진을 느꼈다면 승강기를 타지 않아요.
,
안내에 따라 행동해요.
영향을 끼쳐 왔고, 과학 교과의 목표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STS 교육은 과학,
건물 밖
무너질 수 있는
기술, 사회의 상호 관련성을 강조하며, 인간의 경험적 상황에 근거한 과학 학습을 중 에서 멀리 떨어져서 이동해요.
산, 바다
산에서 바위나 돌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멀리 피해요. 바다
극장, 경기장
에서는 높은 곳으로 대피해요.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에서 머리를
요시하고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추구한다. 과학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STS 수업은 보호하고, 안내에 따라 대피해요.
2 지진 97
초등과학4-2_④단원(79~102)OK.indd 97
96 4. 화산과 지진
전통적 수업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와 활동을 장려하며 학생들의 다양성을 초등과학4-2_④단원(79~102)OK.indd 96 2022-06-23 오후 12:26:56
▲ STS 학습 모형이 적용된 주제
2022-06-23 오후 12:26:54
인정하면서 과학과 기술에 관련된 사회적인 문제나 논쟁거리, 과학·기술 관련 직업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STS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을 중요시하며, 다가올 미래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STS 학습 모형에서는 학생들이 과학과 과학 기술이 관련된
일상생활의 문제 또는 사회적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찾고 이를 직접 실천하는 것을 강조한다.
또,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찾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협동심을 유발하고 책임 있게 의사 결정 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단순히 과학 지식만을 익히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학의 방법과 기능을 체득하고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련성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STS 교육의 특성상 STS 교육을 위한 학습 모형은 정형화된 틀이 있을 수 없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문제 소개 → 탐색 → 설명 및 해결 방안 제시 → 실행’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 STS 학습 모형을 사용하고 있다(권재술 외, 2012).
• 과학과 관련된 일상생활의 문제나 사회적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
를 인식한다.
문제 소개
• 문제는 학생들이 스스로 찾아낼 수도 있고, 교육적인 목적에 따라 교사가 제시
할 수도 있다.
• 문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관련된 과학 이론이나 자료를 조사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탐색
• 필요하다면 다른 사람들과 여러 대안에 대해 토의하거나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할 수도 있다.
• 탐색 단계에서 모색한 해결 방안을 구체화하고 그 방안에 대해 동료들과 의견
설명 및
을 나눈다.
해결 방안 제시
• 동료와의 토의를 통해 가장 적절한 해결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해결 방안을 직접 실천에 옮기거나 실행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
실행
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한다.
▲ STS 학습 모형의 요소와 단계(Blunck & Yager, 1990)
3. 과학과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