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ele_science_3-2_tutor
P. 81
• 신호등 카드: 신호등 색깔의 삼색 카드를 들게 하여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를 표시하게
하는 방법으로, 초록색 카드는 ‘학습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다.’, 빨간색 카드는 ‘전혀 이해
하지 못하고 있다.’, 노란색 카드는 ‘확실하지 않다.’는 표시이다. 이 방법은 수업 전, 수업 중
또는 수업 후에 어디에서나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 헤드라인 뉴스 요약: 학생들이 신문이나 방송의 헤드라인처럼 수업에서 다룬 학습 내용을
간결하게 요약하는 방법으로, 수업 후 정리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다.
과정 중심 평가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이해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아 능동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평가가 학습의 일환이자 학습의 경험이 될 수 있어야 한다. 학생의 수행
과정과 최종 결과만을 평가하기보다는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함께 평가하여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평가를 구현하기 위해 도입된
용어가 과정 중심 평가이다(박지현 외, 2018).
우리나라에서는 정책적으로 학생 평가의 질적 변화를 위한 평가로 ‘과정 평가’가 아닌 ‘과정
중심 평가’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두 가지 개념의 차이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학교
현장에서는 과정 평가와 결과 평가를 구분하여 과정 중심 평가에서 결과 평가를 배제하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과정 중심 평가는 과정 평가와 결과 평가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과정 중심 평가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기반한 평가 계획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이며, 이는
새로운 평가 체제나 방법이라기보다 결과 중심의 평가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는 평가 체제의 마련을 위해 도입된 용어이다. 이러한 과정 중심 평가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 성취기준에 기반을 둔 평가: 과정 중심 평가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기반을 둔 평가이다.
•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 과정 중심 평가는 수업 중에 학생의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
어지는 평가로서 교수·학습과 연계된 평가를 지향한다.
• 수행 과정의 평가: 과정 중심 평가에서는 학습자의 지식, 기능, 태도가 어떻게 발달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학습자의 수행 과정을 평가 대상으로 한다.
• 지식, 기능, 태도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평가: 과정 중심 평가는 지식, 기능, 태도 등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 영역까지 포함하는 종합적인 평가이다.
• 다양한 평가 방법의 활용: 과정 중심 평가에서는 평가의 목적이나 내용을 고려하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학습자의 발달과 성장을 위한 평가 결과의 활용: 과정 중심 평가는 학습자의 발달과 성장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학습자의 부족한 점을 채워 주고, 우수한 점을 심화·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3. 과학과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