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ele_science_3-2_tutor
P. 79
다음은 수행 평가 문항 검토를 위한 체크 리스트의 한 예이다.
구분 점검 사항 확인
선정된 성취기준이 수행 평가로 평가하기에 적합한가?
성취기준
적합성 개발된 과제가 선정된 성취기준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제인가?
성취기준과 수행 과정이 교육과정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가?
학생들이 어떻게 학습하는가에 관심을 두고 학습의 과정을 평가하는가?
평가 방법의 학생이 직접 구성한 반응으로 산출되는 결과물과 행동에 기초하여 평가하는가?
타당성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과제의 수행 방법 및 산출물의 형식을 제시하는가?
단발적인 평가가 아닌 학습과 연계된 평가인가?
평가 시행의 시간, 공간, 환경 등이 큰 부담 없이 구현 가능한가?
시행
가능성 평가 시행 시간이 다른 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가?
평가 환경이 학생의 성별, 지역 등의 특성이나 자원의 영향을 받지 않는가?
채점 기준이 수행의 과정과 결과, 참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가?
채점 기준의
적절성 채점 기준이 학생의 결과 산출 또는 응답 수준을 적절히 변별할 수 있는가?
평가 방법 및 도구 유형에 적절한 채점 및 평정 체제가 설정되었는가?
▲ 수행 평가 문항 검토용 체크 리스트(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수행 평가에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채점 기준(준거)에는 총제적 채점 기준과 분석적 채점
기준이 있는데, 총체적 채점 기준보다 분석적 채점 기준이 학생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채점 기준은 수행의 기준 또는 도달 목표로 교수·학습 목표에 따라
설정하며 점수 척도는 채점 기준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총체적 채점 기준표는 전체의 평가 요소 가운데에 특정 수업이나 실험에서 강조한 평가
요소만 평가한다. 체크 리스트 채점 기준표에는 평가 목표 및 그 내용의 특성을 몇 개의 평가
요소로 나누고 평가 요소마다 같은 점수를 부여한다.
분석적 채점 기준표에서 점수 체계는 수행의 구성 요소를 채점 기준으로 세분한 뒤 양적인
점수를 부여하며, 숫자 대신 상, 중, 하와 같은 척도, 즉 질적인 척도로 평가한다.
구분 내용
• 학생의 수행 과정이나 결과물을 몇 개의 단계에 근거하여 전체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학생의 수행 과정이나 결과물에 대한 다양한 특징(의사소통, 문제 해결,
총체적 채점 기준
협업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학생의 수행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평가하므로 채점을 위한 시간이 적게 걸린다.
• 평가 항목별 성취기준에 비추어 학생의 수행 과정이나 결과물을 수준별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몇 개의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각 항목에서 학생의 수행이 어떠한 수준
분석적 채점 기준 인가를 결정한다.
• 학생의 수행을 평가 항목별 채점 기준에 따라 개별적으로 분석하면서 채점하므로
채점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채점 결과를 그대로 피드백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총체적 채점 기준과 분석적 채점 기준
3. 과학과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