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ele_science_3-2_tutor
P. 74

2   평가 영역

             과학은 학생들이 과학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탐구 능력 및 태도를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과학과 평가도 과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 관련 태도를

           과학 학습 평가의 핵심적인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들 영역을 균형 있게 평가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과학과 핵심 개념
             블룸(Bloom, 1956)은 인지적, 정의적, 신체적(심동적) 등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 교육
           목표 분류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과학과 핵심 개념은 이 중에서 인지적 영역에 해당한다. 인지적

           영역은 다시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의 영역으로 세분되며, 학교 현장에서는 실용
           성을 우선하여 다음 표와 같이 지식, 이해, 적용(적용, 분석, 종합, 평가의 통칭)의 세 수준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핵심 개념                                  특징
                           • 학습한 내용을 단순히 회상하거나 기억해 내는 능력이다.
                 지식        •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사실, 원리, 법칙 등을 인지하고 기억하거나 유사한 상황에서
                            이를 확인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 학습한 내용을 단순히 기억하는 것을 넘어서 의사소통을 통해 전달된 내용이나 자료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다.
                 이해
                           • 언어로 표현된 표면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상징적으로 표현되거나 드러난 것 이면에
                            담겨 있는 생각을 추론하는 것도 포함된다.
                           • 이미 습득하거나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상황이나 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적용        • 과거에 배운 개념, 원리, 이론 등을 다른 상황이나 사태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문제 해결력’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 과학과 핵심 개념의 평가 요소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탐구 능력이란 과학자들이 자연 현상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데 필요한 능력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절차와 이에 관련된 사고 과정을 뜻하지만, 이는 학생들이 어떤 문제를
           인식했을 때 과학적 탐구 방법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기도 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의 하나로 과학적 탐구 능력을 제시하

           며, 과학적 탐구 능력을 과학적 문제 해결을 위해 실험, 조사, 토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증거
           를 수집, 해석, 평가하여 새로운 과학 지식을 얻거나 의미를 구성해 가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교육부, 2015). 이처럼 과학 교육의 주요 목표인 과학적 탐구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과학의 탐구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능을 체계적으로 익힐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 방향에서 기초 탐구 과정(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 의사소통 등)과 통합 탐구 과정(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등),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모형의 개발과 사용,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등의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2015).


           72    과학과 교육과정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