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ele_science_5-1_tutor
P. 104
단원의 배경지식 열과 열량
온도 • 열: 고온의 물체와 저온의 물체가 서로 접촉했을 때
온도는 물체의 뜨겁고 차가운 정도를 나타낸 물리량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이동하면서 온도 변
이다. 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에너지이다. → 열을 얻
• 섭씨온도: 1`기압에서 순수한 물의 어는점을 0`*C, 으면 온도가 올라가고 열을 잃으면 온도가 내려간다.
끓는점을 100`*C로 정하고 그 사이를 100`등분한 것 • 열량: 열이 이동할 때 물체가 얻거나 잃은 열의 양을
으로, 단위는 *C(섭씨도)를 사용한다. 열량이라고 한다.
• 절대 온도: 이상 기체 분자의 열운동이 정지한 상태 - 단위: cal(칼로리), kcal(킬로칼로리)
를 0`K으로 하고 섭씨온도와 같은 간격으로 나눈 것 - 1`cal: 물 1`g의 온도를 1`*C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
으로, 단위는 K(켈빈)을 사용한다. 이다.
• 화씨온도: 1`기압에서 순수한 물의 어는점을 32`*F,
열평형에 도달하는 과정
끓는점을 212`*F로 정하고 그 사이를 180 등분한 것
고온의 물체(A)와 저온의 물체(B)가 서로 접촉했을 때
으로, 단위는 *F(화씨도)를 사용한다.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열이 이동하여 열평형을
이룬다.
물질의 상태와 온도에 따른 입자의 운동
A의 온도>B의 온도
구분 입자의 운동 A B
시간이 흐른 뒤
가열
가열
가열
고체
A의 온도=B의 온도
A B
▲ 열평형에 도달하는 과정
가열
가열
가열
액체
열평형의 이용
• 음료에 얼음을 넣으면 음료와 얼음이 열평형에 도달
할 때까지 음료의 온도가 내려간다.
• 온도계를 물체에 꽂으면 온도계와 물체가 열평형을
가열 이루어 온도가 같아진다. → 온도계의 온도가 곧 물체
가열
가열
기체
의 온도를 나타낸다.
• 냉장고에 음식을 넣으면 음식과 냉장고 속 찬 공기가
열평형을 이루어 음식을 차갑게 보관할 수 있다. →
냉장고 안의 내용물이 모두 열평형을 이룬다.
감각으로 느끼는 온도
1690`년에 존 로크(Locke, J., 1632 ̄1704)는 한 비열과 열용량
손은 따뜻한 물에, 다른 한 손은 찬물에 넣었다가 잠시 • 비열: 물질 1`kg의 온도를 1`*C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
후 온도가 중간 정도인 물에 양손을 동시에 넣으면 한 • 열용량: 물체의 온도를 1`*C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
손은 물의 온도를 차게 느끼고, 다른 한 손은 따뜻하게 • 온도 변화와 열량, 비열, 질량의 관계: 물질의 온도
느낀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를 통해 물체의 온도를 변화는 흡수한 열량에 비례하고, 질량과 비열에 반비
정확하게 측정하는 수단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례한다.
102 제 2 부 지도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