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9 - ele_science_5-1_tutor
P. 169
행성의 조건 서양에서는 기원전 3천 년 무렵 고대 바빌로니아와
2006`년 국제천문연맹이 정한 정의에 따르면 행성은 이집트에서 처음으로 별자리의 이름을 지었다. 태양이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자신의 중력만으로 구에 가 이동하는 경로(황도) 부근에 있는 12`개의 별자리를 황
까운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자신의 공전 궤도에 있는 도 12`궁이라고 했는데, 이것이 고대 그리스와 로마로
작은 천체들을 모두 끌어당겨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전해지면서 사람들이 동물, 전설 속의 인물 등의 이름을
중력을 가진 천체이다. 붙였고 이후 더욱 다양한 별자리가 만들어졌다.
과거에 태양계 행성으로 인정받았던 명왕성은 이 조건 망원경의 발전으로 정밀한 천체 관측이 가능해져 별
의 일부를 만족하지 못해 왜소 행성으로 분류되었다. 자리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되면서 국제천문연맹은
불분명한 별자리 사이의 경계를 정확하게 구분짓고 88
개의 표준 별자리를 확정지었다. 3
우리나라에도 전해 내려오던 별자리가 있다. 고구려 단원
행성의 겉보기 운동
고분 벽화의 일부에 별자리가 그려져 있으며, 특히 큰
태양계 행성은 모두 태양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
곰자리의 북두칠성을 그린 것이 많이 발견되었다. 조선
으로 회전한다. 하지만 지구와의 공전 속도 차에 의해
시대에 만들어진 별자리판인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전
천구상에서 별들 사이를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겉보기
해져 오는데, 이 별자리판은 조선을 개국하면서 태조가
운동이 나타난다. 행성은 멀리 있는 배경별에 대해 서
만든 것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조선 시대 한양에
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겉보기 운동인 순행을 하기
서 볼 수 있었던 별을 새겨 놓았으며, 별의 밝기에 따라
도 하고, 배경별에 대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크기를 다르게 표시했다.
겉보기 운동인 역행을 하기도 한다.
순행 1′ 5′ 우주 망원경
2′ 3′ 4′ 5′ 순행 3′ 4′
동 역행 6′ 서 동 2′ 역행 1′ 서 지구를 둘러싼 대기는 우주의 천체를 선명하게 관측
순행 7′
순행 하기 어렵게 만든다. 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동안 굴절
과 산란이 일어나기 때문에 지구에 설치한 망원경을 이
용해 관측한 천체의 모습은 왜곡된다. 지구의 망원경으
내행성의 4′ 3′ 2′ 지구의
공전 궤도 5′ 4 3 1′ 공전 궤도 로 천체로 관측할 때에는 날씨의 영향도 받는다. 우주
1′ 2
7′
2′ 6′ 망원경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천체를 선명하게 관
지구의
3′ 4′ 5′ 공전 궤도 5 1 측하고자 하는 천문학자들의 열망을 담아 개발되었다.
1 2 3 4 5 6 7 외행성의 공전 궤도 1946`년 미국의 천체 물리학자 라이먼 스피처
▲ 내행성의 겉보기 운동 ▲ 외행성의 겉보기 운동 (Spitzer, L., 1914 ̄1997)는 망원경을 우주에 올리
자는 제안을 최초로 하였고, 그 이후로 우주 망원경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수십 년 동안의 연구 끝에 허블
우주 망원경이 개발되어 우주로 올려졌고, 뒤를 이어
별자리
콤프턴 감마선 우주 망원경, 찬드라 X선 우주 망원경,
별은 밤하늘에서 밝기가 서로 다르게 보이고 골고루
스피처 우주 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등이 우주
분포되어 있지 않다. 옛날 사람들이 무리 지어 있는 별
로 올려졌다.
을 연결해 닮은 동물이나 물건,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붙인 것을 별자리라고 한다.
문화권, 나라, 시대마다 별을 연결했을 때 닮은 모양
에 대한 관점이 달랐다. 여러 책이나 그림에 기록된 별
자리를 비교하면 같은 별자리라도 구성하는 별의 종류
▲ 콤프턴 감마선 ▲ 찬드라 X선 우주 ▲ 스피처 우주
나 별이 연결된 모습이 조금씩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우주 망원경 망원경 상상도 망원경 상상도
3. 태양계와 별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