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8 - ele_science_5-1_tutor
P. 168
단원의 배경지식 원시 태양은 중심부 온도와 압력이 높아지며 수소 핵
태양 융합 반응을 하게 되어 태양이 되었고, 미행성체들은 서
태양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천체로, 태양계 내의 유 로 충돌·병합해 행성이 되었다.
일한 별이다. 태양의 지름은 지구의 약 109`배이며, 질 현재 태양계는 태양과 행성 외에도 위성, 소행성, 혜성
량은 지구의 약 33`만 배이다. 태양의 대부분은 수소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성은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다. 로, 태양계에서는 수성과 금성을 제외한 모든 행성이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태양의 표면을 광구라고 위성을 가지고 있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
한다. 광구는 밝고 둥글게 보이며 평균 온도가 약 에 분포하는 암석질의 작은 천체로, 태양 주위를 돈다.
6000`*C이다. 광구에는 주변에 비해 온도가 낮아서 어 혜성은 긴 타원이나 포물선 모양의 궤도를 도는 작은
둡게 보이는 흑점과 수많은 쌀알을 뿌려 놓은 것 같은 천체로, 얼어붙은 기체를 포함하고 있어 태양에 가까이
쌀알 무늬가 나타난다. 오면 빛이 나고 긴 꼬리가 생긴다.
태양의 대기는 채층과 코로나로 구분한다. 채층은 광
구 위의 얇고 희박한 대기층이며 붉은색이고, 코로나는
채층 위로 넓게 뻗어 있는 대기층이며 진주색이다. 태 태양계 행성의 분류
양의 대기에서는 광구에서 온도가 높은 물질이 대기로 태양계 행성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솟아오르는 홍염, 흑점 부근에서 폭발이 일어나 채층의 천왕성, 해왕성이 있으며 행성의 위치에 따라 내행성과
일부가 순간 밝아지는 플레어가 나타나기도 한다. 외행성으로 나눌 수 있고, 물리적 특성에 따라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나눌 수 있다.
흑점
지구의 공전 궤도보다 안쪽에서 태양 주위를 돌고 있
흑점
는 수성, 금성을 내행성이라고 하고, 지구의 공전 궤도
쌀알 보다 바깥쪽에서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화성, 목성, 토성,
무늬
천왕성, 해왕성을 외행성이라고 한다.
▲ 광구 ▲ 흑점과 쌀알 무늬
또, 상대적으로 크기와 질량이 작고 평균 밀도가 크며,
표면이 암석으로 이루어진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을 지
구형 행성이라고 한다. 상대적으로 크기와 질량이 크고
평균 밀도가 작으며, 주로 기체로 이루어진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목성형 행성이라고 한다.
내행성
▲ 채층 ▲ 코로나 (지구 궤도 수성, 금성
태양의 내부는 중심핵, 복사층, 대류층으로 되어 있다. 안쪽)
중심핵에서 만들어지는 에너지는 복사와 대류를 통해 위치
표면으로 전달된 뒤 광구를 빠져나와서 태양계 전체에 외행성 화성, 목성,
(지구 궤도 토성, 천왕성,
영향을 준다. 바깥쪽) 해왕성
분류
기준
태양계
수성, 금성
태양계는 약 45`억 년 ̄50`억 년 전 성운으로부터 지구형 행성
지구, 화성
만들어졌다. 안정한 상태이던 성운은 우리은하 내에서 물리적
특성
발생한 충격으로 수축하면서 회전하기 시작했다. 회전
목성, 토성
목성형 행성
하는 원반 중심부에서는 원시 태양이 형성되고, 원시 천왕성, 해왕성
원반에서는 미행성체들이 형성되었다. ▲ 태양계 행성의 분류
166 제 2 부 지도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