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 ele_science_5-1_tutor
P. 75

수업   흐름

                                                                  ➋  과학자의 탐구 문제 정하기
                  도입                                              •  파스퇴르가 발견한 것은 무엇인가요?             실험 관찰
                       1   과학자는 어떻게 탐구 문제를 정할까요                     -   독성이 약해진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이 콜레라를
                 과학자의 탐구 이야기 주제 예상하기
                                                                      가볍게 앓고 나서 곧 건강해지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1
                 •  『과학』 8`쪽 ̄9`쪽의 그림을 살펴보고 이야기에 나올                                                                 단원
                            19`세기 중반 유럽에서는 닭 콜레라가 유행하여 수많은 닭이 떼죽음을   •  파스퇴르가 궁금해했던 점은 무엇인가요?
                   것 같은 낱말을 떠올려 봅시다.
                           당했습니다. 파스퇴르(Pasteur, L., 1822 ̄1895)는 닭들이 죽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닭 콜레라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이 건강해진
                   -   과학자, 닭, 주사, 실험, 전염병 등이 있습니다.
                            파스퇴르는 콜레라균을 건강한 닭에게 주사하여 어떤 증상이 나타나
                                                                      까닭을 궁금해했습니다.
                           는지 실험했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공기 중에 오랫동안 놓아두어 독성이
                 •  떠올린 낱말을 활용하여 이야기의 내용을 자유롭게
                           약해진 콜레라균을 닭에게 주사하게 되었습니다. 닭들이 콜레라에 걸릴   •  파스퇴르가 궁금해했던 점을 탐구 문제로 정해 봅시다.
                   예상해 봅시다.                                                                              실험 관찰
                           것으로 예상했던 것과 달리 콜레라를 가볍게 앓고 나서 곧 건강해지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파스퇴르는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이
                   -   과학자가 전염병에 걸린 닭을 대상으로 실험하는                    -   ‘왜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은 건강해
                           건강해진 까닭이 궁금해졌습니다.
                     이야기일 것 같습니다.                                     졌을까?’를 탐구 문제로 정했습니다.
                               콜레라는 콜레라균에 의해 일어나는    『과학』 8 쪽          수업 도우미   탐구 문제 선정을 위한 안내
                    교과서 그림 설명  전염병이에요. 닭이 콜레라에 걸리면 볏이
                               붓고 설사를 하거나 숨을 잘 쉬지 못해요.
                                                                    ‘탐구 문제를 정할 때 생각해요’를 함께 살펴보고 학생들이 탐구
                    닭  콜레라  증상
                                                                    문제를 정할 때 생각해야 할 점을 충분히 숙지하게 한다. 이때 여러
                                                                    가지 탐구 문제의 적절한 예와 적절하지 않은 예를 함께 제시하면
                           닭이 힘이 없고             구토와 설사를
                           늘어진다.                한다.                 학생들이 탐구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태양은 어떤 모양일까? ( × )
                                                                      → 실제로 탐구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 사인펜의 색깔에 따라 잉크에 섞여 있는 색소는 같을까? ( ◯ )
                    볏과 부리가           눈과 코에서 분                         → 탐구하고 싶은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8        부어오른다.                                    • 콩나물이 잘 자라는 온도는 몇 도일까? ( ◯ )
                                     비물이 나온다.
                                                                      → 탐구할 범위가 구체적이다.
                     수업 도우미   닭 콜레라[가금 콜레라(fowl cholera)] 증상
             초등과학5-1_①단원(07~18)OK.indd   8              2022-04-07   오후 4:54:01
                   닭, 오리 등의 가축이 닭 콜레라에 걸리면 활기가 없고 심한 구토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와 설사에 의해 탈수 증상이 나타나며 호흡 곤란을 일으킨다. 이로             •  과학적 사고력   과학자의 탐구 이야기에서 파스퇴르가
                   인해 콜레라균에 감염된 후 2`일 ̄3`일 안에 죽는 경우가 많다.               관찰을 통해 발견한 것, 궁금하게 생각한 것이 무엇

                                                                      인지 확인하며 문제 인식 과정을 이해하게 한다.
                  전개
                                                                    •  과학적 탐구 능력   문제 인식은 탐구의 방향과 가치를
                 ➊  과학자의 탐구 이야기를 읽고 내용 파악하기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임을 안내하고, 탐구 문제는

                 •  파스퇴르가 연구를 시작한 배경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질문 형식으로 명확하게 나타내게 지도한다.
                   이야기를 읽어 봅시다.
                     수업 도우미   내용 확인을 위한 발문 활용하기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참여도 평가)
                   학생들이 핵심 내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과학자가 연구를 시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작한 동기와 문제 인식 과정을 구체적으로 질문하여 답하게 한다.                      탐구 문제를 정하는 활동에 적극적
                                                                       태도
                 •  파스퇴르는 무엇을 연구했나요?                                        으로 참여했는가?
                                                                   관찰
                   -   닭 콜레라에 걸려 수많은 닭이 떼죽음을 당하는                            탐구할 내용이 잘 드러나게 과학자의
                                                                   평가 탐구
                     모습을 보고, 닭들이 죽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닭                             탐구 문제를 정했는가?
                     콜레라를 연구했습니다.                                      지식 문제 인식의 뜻을 설명할 수 있는가?
                 •  파스퇴르가 실험을 통해 알아보려고 했던 것은 무엇
                                                                   평가 피드백  과학자의 탐구 문제를 정하는 활동의 태도, 탐구, 지식을
                   이었나요?
                                                                  상중하로 구분하여 간략하게 문장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과학자의
                   -   건강한 닭에게 콜레라균을 주사하면 어떤 증상이                  탐구 이야기와 연계하여 문제 인식의 뜻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도
                     나타나는지 알아보려고 했습니다.                            록 한다.


                                                                                            1. 과학자의 탐구    73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